검찰 ‘명태균 게이트’ 수사 결과 이달 발표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창원지검장 “수사 마무리 단계”
인력 확충 뒤 결과물 내놓지 못 해
“혐의 광범위, 시일 걸린다” 해명
명태균 “특검 발의 환영” 입장문

명태균 씨가 지난해 8월 창원지검에 출석하고 있다. 부산일보DB 명태균 씨가 지난해 8월 창원지검에 출석하고 있다. 부산일보DB

검찰이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에 대한 수사 중간결과를 이르면 이달 중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뒤늦게 전담수사팀을 꾸려 수사력을 집중한 검찰의 첫 결과 발표와 맞물려 야당에선 ‘명태균 특검법’을 추진하면서 사건 향배에 이목이 쏠린다.

정유미 창원지검장은 11일 지역 기자단과 간담회를 갖고 이르면 이번 달 중 ‘명태균 게이트’ 수사 중간발표를 목표로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지검장은 “명 씨와 관련한 수사는 어느 정도 마무리돼 가고 있다”며 “(수사가)일단락될 때 어느 정도 궁금증을 해소시켜드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창원지검은 지난해 11월 6일부터 검사 11명을 투입,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을 꾸려 ‘명태균 게이트’에 대한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특별수사팀과 비슷한 규모로 수사 부서를 꾸렸으나 100일이 되도록 별다른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다. 심지어 이 사건에 깊게 개입해 관련 내용을 폭로한 강혜경 씨에 대한 기소 여부도 결정하지 못했다. 강 씨는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실무를 맡다가 김영선 전 국회의원의 회계책임자를 지낸 인물이다.

검찰은 2023년 12월 경남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명 씨와 김 전 의원 등 5명에 대한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 고발장을 넘겨받아 꼬박 1년이 지나 이들을 모두 기소했다. 이 과정에서 명 씨를 둘러싼 여러 의혹이 언론을 통해 제기됐다.

명 씨가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후보 시절 불법 여론조사를 제공하며 김 전 의원의 공천을 받아왔다는 게 의혹의 핵심이었다. 또 대통령 부부와 친분을 내세워 다른 선거의 국민의힘 공천까지도 영향을 끼치고 정치자금을 수수했다는 내용까지 더했다. 비슷한 수법으로 유력 정치인들의 여론조사를 조작하고, 창원 제2국가산업단지 조성에 개입하고 주변인을 통해 투기했다는 의혹도 나왔다. 검찰은 혐의가 입증된 사건부터 추가 기소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야당에서 검찰 수사 지지부진을 지적하며 이날 ‘명태균 특검법’을 발의했다. 민주당은 “12·3 내란의 전모를 밝히고 죄를 지었으면 처벌받는다는 당연한 원칙을 확립하기 위해 명태균 특검법은 불가피하다”고 했다. 이달 내 본회의 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야당의 특검 추진에 대해 정 지검장은 “특검 발의와 관계 없이 우리는 하던 일(수사)을 계속 하겠다”고 일축했다.

명 씨 측은 오히려 특검 발의를 환영했다. 명 씨는 이날 변호사를 통해 “공천개입, 대선경선, 정치자금법, 불법여론조사, 창원국가산단 등 명태균과 관련된 모든 의혹을 특검 내용에 꼭 포함시켜 달라”며 “이제는 국민들이 정치권의 더럽고 추악한 진실을 알아야 할 때가 왔다”는 입장문을 냈다.

검찰은 명 씨에게 제기된 의혹과 혐의가 워낙 광범위하다 보니 수사에 시일이 걸린다는 입장이다. 이 차장검사는 “수사가 더디다는 지적은 오해다. 저희는 거의 쉼 없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고, 사건 초기에 수사가 생중계되다시피 하다가 (계엄 이후)현재는 이슈가 좀 누그러들어 그렇게 보이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