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 가구 4만 호 아래로… "귀어할 분을 찾습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년새 어가 수 -5%·인구 -3%
올해 고령화율 48% 도달할 듯
공간 재구조·거점 지역화 필요
"지역 네트워크로 공동 대응을"

부산 기장군 일광면 어느 어촌 풍경. 국내 어가가 4만 호 아래로 떨어지는 등 어촌 대부분이 소멸 위기에 빠져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 기장군 일광면 어느 어촌 풍경. 국내 어가가 4만 호 아래로 떨어지는 등 어촌 대부분이 소멸 위기에 빠져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어업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국내 어업 가구 수가 처음으로 4만 호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어촌 공간과 어촌 관련 재정 사업의 재구조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어촌 소멸의 가속화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전반적인 진단이다.


최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내놓은 ‘2025년 어촌 전망과 과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어가(어업 가구)는 3만 9689호, 어가 인구는 8만 4596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어가 수는 2023년 4만 1775호보다 5%가, 어가 인구는 2023년 8만 7115명보다 2.9% 줄었다.

이런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진다. KMI는 올해 어가 수가 지난해보다 1.8% 줄어든 3만 8958호, 어가 인구는 3.8%가 줄어 8만 1381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고령화로 인해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인원이 많은데, 귀어나 귀촌 인구 유입도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귀어 인구 1명이 나올 때 어가 인구는 3명 이상이 빠지는 것으로 추산된다.

고령화율도 나날이 심각해져, 50%에 가까워졌다. 어촌의 고령화는 2021년 40.5%로 처음으로 40%대에 진입했다. 지난해에는 46.9%로 추정되며, 올해는 48.6%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KMI는 어촌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촌공간과 어촌 관련 사업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지자체가 주도하는 융·복합 어촌 투자 촉진을 통해 어촌을 거점 지역화하는 것이 합리적인 대안이라는 분석이다.


이 밖에도 어촌 지원 기반 차원에서 귀어귀촌 지원 확대, 주민 역량 강화, 공공서비스 개선 등을 추진하고 어촌지표를 활용한 지역맞춤형 정책 설계와 정책 수요 발굴도 주문했다.

지난달 열린 ‘2025 해양수산 전망대회’에서 이호림 KMI 생활·경제공간연구실장은 어촌 소멸과 관련해 “어촌지역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어촌문제에 공동 대응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어업인에 대한 안정적 수입 보호책이 거론되기도 한다. 같은 자리에 토론자로 나선 김성호 구룡포수협 조합장은 “농어업재해대책법과 농어업재해보험법상 농산물과 임산물, 양식수산물은 재해에 의한 피해보상이 되지만 어업은 어선만 보상 대상에 해당한다”며 “농업 분야에선 올해부터 수입안정보험이 추진된다고 하는데, 수산업계도 이러한 제도가 빠르게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어촌어항공단 귀어귀촌종합센터는 어촌 소멸을 억제하고 귀어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한 ‘2025년 귀어귀촌 촉진 사업계획’을 12일 발표했다.

센터는 올해 5년 단위 법정 계획인 ‘제2차 귀어귀촌지원 종합계획’의 3차 연도를 맞아 지원 사업을 강화했다. 지역 센터 위주로 진행되던 귀어귀촌·어촌관광 한마당을 지역자치단체와 수협, 기업 등으로 참여 기관을 확대해 도심에서 개최한다.

상시 온라인 교육과 정기 교육을 어업·양식업·6차 산업화 등으로 세분화해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분야별 컨설팅과 소득 창출을 위한 판로 개척도 지원한다. 현장의 어촌정착상담사를 늘리고, 컨설팅 분야도 귀어귀촌인의 어업·업종별 수요에 맞춰 세분화해 전문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