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할랄인증 대응전략’ 공유
부산인도네시아센터 등 주최
20일 부산상공회의소 설명회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의무화를 앞두고 부산에서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대응 전략 설명회’가 마련된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공식 할랄인증기관으로 지정된 부산인도네시아센터(이하 센터)는 오는 20일 부산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인도네시아할랄청(BPJPH)과 공동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센터는 지난해 10월 BPJPH의 공식 할랄인증기관 ‘비아이씨 할랄 코리아(BIC HALAL KOREA)’로 지정돼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바 있다. 이날 설명회에서 인도네시아할랄청 하이칼 하산 청장은 ‘글로벌 할랄 산업의 잠재력 및 생존전략’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하산 청장은 강연을 통해 “할랄은 단지 종교에 국한된 개념이 아니라 무슬림이 일상생활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일련의 관행, 관습”이라고 강조한다.
실제 할랄 산업 분야는 레스토랑과 패션 등을 포함한 할랄 라이프 스타일을 비롯해 할랄 이노베이션 허브, 할랄 식료품 마켓, 할랄 교육 센터, 할랄 웰니스 센터, 할랄 관광 등 광범위하다. 이에 세계 할랄 산업의 잠재성도 점차 커지는 추세다. 하산 청장은 “지난해 할랄 제품에 대한 세계 소비지출은 2조 8000억 달러에 이르고 2030년에는 4조 96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경우 2026년 10월 17일부터 자국 내 유통되는 식품, 음료,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들에 대해 할랄 인증을 의무화한다. 이에 인도네시아는 인증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해외 인증기관의 할랄 인증 시스템을 도입했다.
센터 관계자는 “부산을 비롯한 한국 기업들이 이같은 변화에 맞춰 할랄 인증과 관련한 기존 절차를 준수하고 신속히 대응하면 20억 명에 이르는 무슬림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