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복지센터 폭언·폭행 막는다… ‘안전보안관’ 배치 확대
부산 구·군 행정복지센터에 민원인 폭행과 폭언 등에 대처하기 위한 안전보안관 배치가 늘어나는 추세다. 경찰, 소방관, 군인 등 관련 직업에 종사했던 노인들이 근무 경험을 살려 고성과 소란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면서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부산 16개 기초지자체 중 11개 구·군이 올해 ‘노인일자리 행정복지센터 안전보안관’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동구·사상구·수영구·영도구·중구 등을 제외한 부산 구·군에서 행정복지센터 민원실에 안전보안관을 배치한 상태다.
안전보안관은 경찰, 군인, 교도관 등 다양한 직종에서 퇴직한 노인들이 경력을 살려 행정복지센터 민원실을 지키는 역할을 맡는다. 강서구나 부산진구 등이 올해 각각 9개 동과 20개 동 전체에 배치하는 등 안전보안관이 올해 전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행정복지센터 민원실은 안전보안관 배치 이후 분위기가 달라졌다. 안전보안관이 폭행과 폭언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뿐 아니라 고성과 소란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반응이 나온다. 부산시 노인복지과 관계자는 “민원인을 안정시키고, 담당자와 분리시키는 등 초기 대응이 빨라 긍정적인 반응이 나온다”며 “직원들 심리적 안정감이 높아질 뿐 아니라 안전보안관이 근무하는 자체로 소란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 통합민원과가 지난해 7월 강서구·북구·해운대구 안전보안관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긍정적 반응이 대다수였다. 민원인 안내를 돕는 데다 고령 민원인은 눈높이에 맞게 효율적인 응대도 가능하단 점도 장점으로 꼽혔다. 70대 이상 안전보안관도 많은 상황이라 직무수행 능력이 충분한 인력을 배치해야 하고, 조끼나 호루라기 등 보호 장비가 필요하단 지적도 나온다.
당장 안전보안관이 없는 부산 기초지자체도 자체적으로 보안 전문 인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동구는 전문경비업체에 위탁해 보안 인력을 2개 동에 1명씩 배치할 계획이고, 사상구는 괘법동에 이달 인력을 배치한 후 모든 동에 확대하는 방안은 검토 중이다. 수영구는 올해 안으로 인력 배치 방안을 검토 중이고, 중구는 3개 동 주민 센터에 경비 경력을 가진 안전요원을 배치한 상태다. 영도구는 통합무술 유단자가 4개 동에 1명씩 보안 업무에 투입되고 있다.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