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말 끝나는 가자지구의 짧은 평화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3월 초 휴전안 만료 불구
이스라엘-하마스 협상 난항
네타냐후 “작전 재개” 엄포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이 진행 중인 가운데 25일 가지지구의 한 학교에서 팔레스타인 학생들이 줄을 서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이 진행 중인 가운데 25일 가지지구의 한 학교에서 팔레스타인 학생들이 줄을 서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사이의 가자지구 전쟁 휴전이 이번 주말에 만료될 예정이지만 연장 여부가 불확실하다.

지난 1월 19일에 발효된 휴전 1단계의 지속 기간은 6주(42일)였고, 연장 합의가 추가로 이뤄지지 않는 한 3월 초에 휴전이 만료된다. 이 이후에는 양측이 적대행위를 재개하게 된다. 당초 계획상으로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이 이집트, 카타르, 미국의 중재로 2월 초부터 종전을 위한 협상을 개시했어야 하지만, 그로부터 3주가 지났는데도 협상은 시작조차 되지 않은 상태다.

이스라엘은 이번 휴전 1단계가 만료되면 전쟁을 재개해서 하마스를 멸절하자는 분위기로 기울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휴전 1단계 발효 다음날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권좌 복귀에 고무돼 있다. 그는 지난 23일 “(이스라엘은) 어느 순간이든 치열한 전투를 재개할 준비가 돼 있다”며 작전계획이 이미 수립된 상태라고 밝혔다.

다만 양측이 포로교환을 계속하는 데 합의했다는 소식이 26일 밤 하마스 협상단을 통해 전해지면서 일단 최소한 며칠 간은 휴전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하마스 역시도 유일한 협상 카드인 인질을 종전 약속 없이 석방할지 불확실한 전망이다. 불안한 단기 휴전을 대가로 인질을 석방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는 이번 주에 중동으로 다시 출장을 갈 예정이다.

AFP통신에 따르면 그는 25일 미국유대인위원회(AJC) 행사에서 “(휴전)2단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추가로 인질 석방을 할 것”이라며 “만약 협상이 잘 진행된다면 내달 2일에 자신이 협상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