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다치고 탈진…울산서 구조된 독수리들 GPS 달고 자연으로
시, 이동 경로, 생존 여부 파악
울산에서 구조돼 치료받은 독수리 2마리가 6일 자연으로 돌아간다.
울산시는 이날 태화강 삼호섬 하중도에서 울산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울산독수리학교, 녹색에너지촉진시민포럼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독수리 방사 행사를 열었다.
이번에 방사한 독수리들은 저마다 사연이 있다. 먼저 날개에 96번 번호를 단 독수리는 지난해 12월 8일 북구 우가산 까치전망대에서 우측 안구가 파열된 채 구조돼 치료받았다.
97번 번호를 단 독수리는 올해 1월 7일 태화강에 빠졌다가 탈진 상태로 발견돼 목숨을 건졌다.
방사를 앞두고 97번 독수리는 영양 섭취를 하며 건강이 회복됐으나, 96번 독수리는 한쪽 시력을 잃어 야생 적응과 생존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GPS 부착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김희종 센터장과 한국물새네트워크 이기섭 박사는 “‘한쪽 시력을 잃은 독수리가 살아가는 데 문제가 없다’는 연구 결과와 치료 중에도 잘 적응한 점 등을 고려해 생존 기원과 연구 조사 차원에서 GPS 부착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GPS를 통해 방사 후 독수리들의 이동 경로와 생존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울산으로 다시 돌아오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울산에서 구조된 독수리 두 마리 중 한 마리가 울산으로 돌아온 기록이 있다.
시 관계자는 “매년 울산을 찾는 독수리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탈진·충돌 등으로 인한 구조도 함께 늘고 있다”며 “먹이 지원과 독수리학교 운영 등을 통해 시민이 독수리를 제대로 알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