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슈퍼 주총데이’… 소액 주주 보호 요원
BNK·리노공업 주총일 겹쳐
분산 유도 정책도 ‘무용지물’
올해도 특정 날짜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주주총회(주총)가 집중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올해는 오는 26일이 이른바 ‘슈퍼 주총데이’로 떠올랐다. 소액주주의 권리 보호 차원에서 주총일 분산이 권장되지만 현실화는 요원한 실정이다.
11일 기업공시채널 카인드(KIND)에 따르면 지역 기업인 BNK금융지주와 리노공업은 26일 주총을 개최한다. BNK금융지주는 주총에서 임기가 만료된 최경수 사외이사를 대신해 박수용 서강대학교 AI·SW 대학원 원장 신규 선임을 결의한다. 이사회 기존 구성원 7명 중 6명 연임을 결정, 교체 폭을 최소화했다. 또한 지난 실적 발표에서 밝힌 주주 배당금 650원(중간 배당금 200원 포함)도 의결한다. 리노공업 역시 주당 3000원의 배당금과 신규 이사 선임을 의결한다.
26일은 지역의 대표 기업 두 곳 뿐 아니라 LG, NAVER, 카카오, KB금융 등 전국 상장사 174개사가 주총을 개최한다. 20일(52개사)과 25일(71개사), 31일(52개사) 등에도 다수 주총이 개최된다.
특정일에 주총일이 몰리는 현상에 소액 주주 권리 보호를 위해 분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주총 일정이 겹치면 주주는 동시에 여러 주총 참석이 어려워 권리 행사가 제한된다. 반면 기업은 주주 관심도를 분산시킬 수 있다. 정부는 주총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2018년 분산을 유도하는 자율 준수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상장사가 주총 예정일을 한국상장사협회와 코스닥협회에 사전에 신고하면 집중 예상일을 통보해 분산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올해 집중 예상일은 21, 27, 28일이었다. 집중 예상일에 주총을 개최할 경우 사유서를 금융당국에서 제출받기로 했지만 26일에 몰리며 대책은 무색하게 됐다.
지역의 한 상장사 관계자는 “주총 일주일 전까지 공시를 마치려면 3월 마지막 주에 주총이 몰릴 수밖에 없다”며 “전자주총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이 더 현실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