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배너
배너

김병주 "계엄군 소극적 대응… 명령에 따르는 시늉 정도로 한 듯"

김주희 부산닷컴 기자 zoohihi@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페이스북
트위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김병주 최고위원이 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김병주 최고위원이 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 실패에 대한 미련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5일 BBS라디오 '함인경의 아침저널'에 출연한 김 의원은 "(비상계엄이) 끝나고 나서 들리는 말에 의하면 '어떻게 군이 투입됐는데 국회 하나 점령을 못하느냐'하고 크게 질책을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많은 병력들이 외곽에 있었는데, 마음만 먹으면 다시 할 수 있지 않겠냐는 미련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계엄군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한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그는 "대단히 정예화된 부대인데, 시민이 에워싼다든가 접촉할 때 가급적이면 접촉을 피하려고 했다. 국회에 들어와서도 보좌진들이 문을 막아섰을 때 적극적으로 개척하려고 노력하지 않았다"며 "명령에 따르는 시늉 정도로 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대해서는 "헌법에도 위반되고 법률도 위반되는데, 어떻게 군이 동조를 할 수 있었는지 의문"이라며 "국회를, 입법부를 무력화시키고 국회를 장악하기 위해 군을 국회에 투입한 것도 명백한 법률의 위반이고 헌법의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계엄 해제할 때 대통령이 나왔고, 병역이 실제로 국회에 투입됐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됐다"며 "계엄사령관이 임명되고 포고령이 내려온 모든 것이 명백한 증거다. 대통령이 내란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계엄사령관에 합참의장이 아닌 육군총장이 임명된 것에 대해서는 "계엄군에 투입되는 부대들은 육군부대니까 육군총장을 임명한 것 같다. 김용현 장관의 후배니 말을 더 잘 들을 수 있는 인사라서 했을 확률도 있다"고 추측했다.

'계엄 실행 능력이 허술했다고 들리기도 한다'는 질문에는 "즉흥적인 면이 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의결이 남아있고, 친한계 중심으로 이탈표들이 8표 이상 있을 확률이 있었다. 채 해병 국정조사가 시작되면서 대통령 입장에서는 가장 정치적인 위기라고 판단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본인이 탄핵되기 전에 먼저 국회를, 민주당을 무력화시켜야 되겠다는 생각을 했을 것 같다"며 "대통령 탄핵에 본인 스스로 도장을 찍는 악수를 둔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이 계엄 상황실을 설치한 것에 대해서는 "8월에 최초로 비상계엄을 언급했을때 국민의힘과 정부는 '괴담이다', '계엄 내린다고 군이 따르겠느냐' 말했지만 실제로는 벌어지지 않았냐"고 반문했다.

그는 "제2, 제3의 계엄을 할 수가 있고, 북한에 긴장을 고조시켜서 국지전을 유발할 수도 있고, 국지전을 빌미로 계엄을 선포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라이브리 댓글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