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의 친구들] 후원·봉사 수도권 단체에 쏠려…지역민의 지역 단체 관심 필요

조경건 부산닷컴 기자 pressjk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busan.com 기사추천 메일보내기
[반려동물의 친구들] 후원·봉사 수도권 단체에 쏠려…지역민의 지역 단체 관심 필요
받는 분(send to)

이름(Name)

e-메일(E-mail)

보내는 분(from)

이름(Name)

e-메일(E-mail)

전하고 싶은 말
페이스북
트위터
부산시동물복지지원단에서 보호 중인 고양이. 부산시동물복지지원단에서 보호 중인 고양이.

‘반려동물의 친구들’ 연재의 취지는 부산의 반려·유기동물 관련 단체를 모두 소개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이들 단체의 현황을 살피고 개선점을 찾는 것에도 주력했다.

지난 3월 부산시 동물복지지원단을 시작으로 〈부산일보〉 취재진은 총 16개 단체를 찾아 소통했다. 이들 단체는 대부분 대표와 직원들의 헌신 덕에 명맥을 이어 가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유기동물을 구조하거나 보호하는 단체는 적은 인력으로 밤낮없이 일하느라 신체적 한계에 맞닥뜨린 상황이다. 소동물인 고양이나 개를 돌보려면 허리를 굽히는 노동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노동에 오랜 시간 노출된 탓에 각종 후유증에 시달린다. ‘반려동물생명윤리협회’ 이정화 대표는 두 번의 허리디스크 수술 외에도 어깨를 들어올리지 못하는 증상이 있다고 호소했고, ‘부산동물구조협회’의 정인현 대표는 온몸에 남은 긁히고 물린 상처를 직접 보여 줬다.

취재진은 부산의 모든 단체를 만나지는 못했다. 이들은 ‘부담스럽다’며 인터뷰를 사양했다. 한 단체 대표와 통화하면서 복잡한 사정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따르면 특정 단체의 운영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는 일부 극단적인 동물 애호가들이 존재한다. 예컨대 관련 법에 따라 유기동물들을 케이지에 보호했더니 ‘왜 케이지에 동물을 가두느냐, 동물학대다’라고 따지고 민원을 제기하는 식이다. 언론에 노출돼 이목이 쏠리는 것이 단체들 입장에선 좋을 게 없다는 것이다.

시청·구청 등 관할 지자체와의 마찰도 해묵은 과제다. 단체 입장에선 지자체가 동물권 문제에 너무 무관심하다고 느낀다. 반면 지자체는 담당 인력과 예산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신경을 쓸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반려동물 인구가 늘고 동물권의 가치가 제고되는 시대적 흐름을 고려하면 지자체에서 보다 많은 재원을 투입할 필요가 있다. 지자체가 맡아야 할 동물 구조 업무를 민간 동물단체가 담당하는 점까지 따져 보면 지원 확대는 마땅하다.

무엇보다 동물단체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경제적 어려움이었다. 빚까지 떠안고 단체를 운영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동물을 많이 구조하고 보호할수록 기부금도 늘어나지만, 병원비 등 단체에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그만큼 증가해 적자를 면하기 어려운 구조다.

부산의 동물단체 대표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수도권 집중’이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동물애호가들의 기부와 봉사활동이 서울에 본사를 둔 유명 동물단체에 집중돼 정작 지역 소재 단체들은 소외 당한다는 지적이다. 유명 단체들은 기부로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직원을 적극 채용해 활발하게 일할 수 있지만, 지역 단체들은 소규모 인력으로 활동할 수밖에 없어 운신의 폭이 좁아지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 “지역 시민들이나 기업들조차 유명하고 잘 알려진 서울 단체에 가입하고 후원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역이 잘되려면 지역 사람들부터 지역을 돌아봐야 한다”는 부산동물학대방지연합 김애라 대표의 지적이 공감을 자아낸다. -끝-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파트너스
해운대구
기장군
동래구
남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