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서 아이폰 신제품·로켓배송 최저가 상품 못 찾게 되나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쿠팡 로켓배송 이미지. 부산일보DB 쿠팡 로켓배송 이미지. 부산일보DB

공정거래위원회가 쿠팡의 PB와 직매입 상품의 검색창 상단 밀어주기 의혹에 대해 제재 여부를 결정하는 첫 전원회의를 오는 29일 열며 상품진열 규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공정위는 쿠팡이 자체 브랜드(PB)와 애플 아이폰,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일반 직매입 상품을 인위적으로 홈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에 노출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통업계에선 공정위 심의 결과에 따라 쿠팡의 로켓배송 서비스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고 보고 있다. 최근 중국발 직구에 대한 소비자 선택권 논쟁이 불거진 상황에서, 애플이나 삼성을 포함한 인기 신제품이나 PB상품의 소비자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제약을 받을 경우 로켓배송 소비자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인기 로켓배송 상품 찾기 어려워질 전망

21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공정위는 오는 29일과 다음달 5일 두차례에 거쳐 전원회의를 열고 쿠팡과 씨피엘비(CPLB)의 고객 유인 행위에 대한 심사보고서를 최종 심의한다. 공정위는 지난 2022년 참여연대 신고를 통해 PB 밀어주기 의혹에 착수했고, PB상품뿐 아니라 애플 아이폰이나 삼성 갤럭시 등 일반 직매입 상품들도 조사해 ‘알고리즘 조작’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이 ‘쿠팡 랭킹순’ 등과 다르게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 상단 등에 제품을 우선적으로 노출했다는 것이 핵심 쟁점이다. 쿠팡은 지난달 반박자료를 내고 공정위가 애플과 삼성 신상 스마트폰, 화장품, 계절성 상품 등 일반 직매입 상품에 대해서도 공정위가 ‘알고리즘 조작’으로 판단했다고 반박했다.

쿠팡 축은 “유통업체는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이 유통업의 본질이고, 온·오프라인을 불문한 유통업체가 동일하게 운영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공정위는 쿠팡 고발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수천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할 가능성도 제기한다. 유통업계가 주목하는 것은 만약 공정위가 제재를 결정할 경우 어떤 시정명령을 내리냐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조사방향이라면 상품 진열 조정을 자유자재로 할 수 없다는 시정명령을 내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업계에선 이러한 시정명령이 내려질 경우 쿠팡의 PB상품은 물론 인기 브랜드와 계절성 로켓배송 상품의 노출이 크게 제한을 받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애플이나 삼성의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노트북 등이 대표적이다. ‘아이폰’ 또는 ‘갤럭시’라고 검색했을 때, 상품 순서를 조정할 수 없다면 신제품이나 사전예약상품보다 스마트폰 케이스나 액세서리류가 뜰 수 있다는 것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주요 식품사들의 신제품 먹거리, 뷰티업체들의 신상 화장품, 각종 생활필수품과 장난감 등 소비자 주목을 끌어야 하는 신제품 수요에 대한 노출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업계 "쿠팡상품노출, 오프라인 진열대와 다르지 않아"

공정위 조사 결과에 따라 로켓배송을 일상적으로 사용한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쿠팡은 2014년 로켓배송 시행 이후 매년 고속 성장했고, 최근에도 매분기 20%씩 매출이 뛰었다. 지난 1분기 고객은 215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늘었다. 지난해 국내 유통시장(소매판매액) 규모는 635조 원으로 1년간 1.6% 늘어날 때 쿠팡은 20% 성장했다.

소비자들이 쿠팡에 몰리는 핵심 요인 중 하나는 수백만개 상품 가운데 원하는 상품을 편리한 UX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쉽게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 뽑힌다.

유통업계 일각에서는 논란이 불거질 경우 ‘소비자 선택권’ 침해논란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최근 정부는 KC인증을 받지 못한 상품의 해외 직구를 금지했다가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여론에 정책을 철회했다. 비슷한 논리로 사실상 전국민이 이용하는 로켓배송의 상품 추천과 접근성이 제한될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특히 국내 주요 대형마트나 백화점, 편의점은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 브랜드 신상품의 우선 노출이나 진열이 보편화된 데다 대기업 제품보다 가격이 30~40% 저렴한 PB상품 노출이 제약을 받으면 소비자 선택지가 줄어들 공산이 크다.

유통업계 일각에서는 논란이 불거질 경우 ‘소비자 선택권’ 침해논란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최근 정부는 KC인증을 받지 못한 상품의 해외 직구를 금지했다가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여론에 정책을 철회했다. 비슷한 논리로 사실상 전국민이 이용하는 로켓배송의 상품 추천과 접근성이 제한될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쿠팡은 수백만개가 넘는 로켓배송 상품을 소비자의 선호와 수요를 시시각각 반영해 보여주고 있다”며 “소비자가 원치 않은 상품이 추천될 경우, 로켓배송을 이용하는 소비자 불만이 커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