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은행 ‘깡통 대출’ 3조 넘어 ‘역대 최대’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돈 빌리고 이자도 못 내는 ‘무수익여신’
기업 2조·가계 1조 이상으로 동반 부실
경영난 기업 늘고 저소득자 부채 증가
가계는 저소득자 부채 의존도 심화

돈을 빌리고 이자도 못 내는 기업과 가계의 부실 규모가 역대 최대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지하철역에 개인회생·파산면책 전문 법무법인 광고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돈을 빌리고 이자도 못 내는 기업과 가계의 부실 규모가 역대 최대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지하철역에 개인회생·파산면책 전문 법무법인 광고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돈을 빌리고 이자도 못 내는 기업과 가계의 부실 규모가 역대 최대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말 무수익 여신 잔액은 총 3조 1787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말보다 15.5% 증가한 것이며, 연말 기준 무수익여신 잔액이 3조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무수익 여신은 연체 여신과 이자 미계상 여신을 합한 수치로, 이른바 ‘깡통 대출’로 불린다. 이자 미계상 여신은 부도업체 등에 대한 여신, 채무 상환 능력 악화 여신, 채권 재조정 여신 등을 포함한다.

4대 은행 무수익여신 잔액은 지난 2022년 말 2조 2772억 원, 2023년 말 2조 7525억 원 등으로 매년 가파르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무수익 여신이 전체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2년 말 0.18%에서 2023년 말 0.20%, 2024년 말 0.22% 등으로 꾸준히 확대됐다.

작년 말 기업 무수익여신 잔액은 2조 1465억 원으로, 전년 말(1조 8867억 원)보다 13.8% 증가했다. 연말 기준으로 기업 무수익여신 잔액이 2조 원을 웃돈 것도 처음이다. 전체 기업 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말 0.24%에서 2024년 말 0.25%로 소폭 높아졌다.

가계 무수익여신 잔액은 작년 말 1조 321억 원으로, 전년 말(8660억 원)보다 19.2% 급증했다. 역시 처음으로 1조 원 을 넘어섰다. 가계 무수익여신 비중은 0.15%에서 0.17%로 올랐다.

기업대출 부실화는 경영난을 겪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데 따른 여파로 보인다. 법원 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총 1940건으로 전년(1657건)에 이어 또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특히 취약·영세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1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증대된 가운데 내수 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신용 자영업자, 지방 소재 중소기업에 금융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관련 특별지원을 확대했다.

가계 상황도 어렵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가계대출과 관련 “저소득자를 중심으로 부채 의존도가 심화하면서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소득·자산 가격 충격 등에 취약해질 수 있다”며 “고령자의 부채 축소가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지 않은 점도 잠재 리스크”라고 우려한 바 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