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지역 산불에 통신시설 피해 '역대 최고'…기지국 복구율 83%(종합)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무선 기지국 2900개 화재·정전
전화·인터넷 장애 2만건, 복구율 94%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28일 산불 피해 입은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마을캠핑장 현장에서 피해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28일 산불 피해 입은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마을캠핑장 현장에서 피해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영남지역 발생한 동시다발적인 대형 산불로 통신사 기지국·유선망 피해도 사상 최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오전 11시 기준 방송·통신시설 피해 및 복구상황(누적 기준)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현재 산불 피해가 집중된 경북 의성·안동·영덕, 경남 산청 등 지역에 설치된 통신 3사의 기지국 2879개소에서 화재, 정전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역대 재난 재해로 인한 기지국 피해 중 가장 큰 규모다. 이 가운데 복구된 비율은 82.8%로 집계됐다.


지난 27일 경북 영덕 한 도로에서 작업자가 인터넷망 복구공사를 하고 있다. 영덕 일대는 산불 피해로 전기와 통신이 끊긴 곳이 많다. 연합뉴스 지난 27일 경북 영덕 한 도로에서 작업자가 인터넷망 복구공사를 하고 있다. 영덕 일대는 산불 피해로 전기와 통신이 끊긴 곳이 많다. 연합뉴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LG헬로비전, KT HCN 등 사업자의 일반 및 인터넷 전화와 인터넷 서비스 장애는 모두 2만 27건 발생했다. 이 중 복구된 회선은 1만 8836건으로 복구율은 94.1%다.

유료 방송은 LG헬로비전, KT HCN, 서경방송에서 1만 9249건 장애가 있었고, 이 가운데 92.7%가 복구됐다.

산불 지역에서 데이터센터와 플랫폼 서비스 이용 장애 등 디지털 서비스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 시설 피해 현황을 24시간, 4시간 간격으로 보고받으면서 통신 사업자와 피해 대응 중이다. 27일 기준 이동기지국 6대, 간이기지국 1개소, 발전차 38대, 휴대용 발전기 211대, 현장 복구인력 771명이 투입됐다. 아울러 경북 청송·영덕 등 산불이 추가로 번진 지역의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해 가용 자원을 집중 투입 중이다. 또, 한국전력공사가 전력 차단 시 통신 장애가 일어나는 점을 고려해 사전 통지를 해 줄 것을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당국에 요청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상황 점검을 위해 안동 피해 현장과 이재민 대피 시설이 설치된 안동체육관, 안동 우편집중국을 방문한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