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본부장, 부산 신항·르노차공장 찾아 수출·외국인투자 독려
르노 측에 "한국 기업의 전기차 핵심부품 조달 노력해달라"
해상운임 상승 우려에 "크게 상승하면 비상대책 가동…추가대책"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2일 부산 수출·투자 현장을 찾아 올해 정부가 세운 수출 7000억 달러 및 외국인투자 350억 달러 목표 달성을 독려했다.
정 본부장은 이날 오전 부산에 있는 르노코리아 공장을 방문해 하이브리드차 생산설비 투자 진행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투자계획을 논의했다고 산업부가 전했다.
르노코리아는 2000년 삼성차를 인수하면서 한국에 진출해 지금까지 자동차 107만대를 생산해 수출하고, 5만 명 이상의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외투 기업으로서 한국 경제에 이바지해 왔다.
르노코리아는 올해 총 4500억 원(외국인투자 1025억 원)을 투입해 부산공장 내연차 생산설비를 친환경 하이브리드 신차 생산설비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이를 통해 200명 이상의 신규 고용이 창출되고 협력업체 부품 조달이 확대되면서 지역경제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 본부장은 현장에서 "르노의 하이브리드차 투자에 이어 전기차 투자계획도 조속히 확정되길 기대한다"며 "정부도 더 나은 투자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르노 측에 "향후 전기차 생산 시 배터리, 모터 등 핵심부품을 한국 기업으로부터 조달하려는 노력도 함께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정 본부장은 이어 한국 전체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의 63%를 처리하는 부산항을 찾아 해상물류 리스크를 점검했다.
정부는 수출 확대가 곧 경제성장과 민생 회복이라는 인식하에 올해 역대 최대인 수출 7000억 달러라는 도전적 목표를 제시하고 총력 지원해 왔다. 이에 우리 수출은 올해 상반기 전년 대비 9.1% 증가하고, 무역수지는 2018년(+311억 달러) 이후 상반기 기준 최대 규모인 231억 달러 흑자를 달성하는 등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다. 올하반기에도 우리 수출은 반도체 등 정보통신(IT) 품목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정 본부장은 최근 해상 운임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을 언급하면서 "현재까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운임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선제 대응과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며 “정부는 물류비 부담 완화, 선복공급 확대 등 컨틴전시 플랜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으며, 운임비가 추가로 상승해 3단계 진입 시(현재 2단계) 관계부처 합동 수출비상대책반을 가동해 추가적인 물류지원 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최근 부산항 인근 부지에 추가로 마련한 컨테이너 공용 장치장(700TEU)은 수출기업의 비용부담 완화에 도움이 되었다”며 부산항만공사(BPA) 등 관계기관 임직원에개 감사 인사를 전하고 앞으로도 수출 기업들의 물류부담 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줄 것을 당했다.
이어 정 본부장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으로 자리를 옮겨 세계무역기구(WTO) 수산 보조금 협정 등 신통상 규범·현안에 적극 대응해 달라고 주문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