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선거요? 평일이라 안됩니다’ 무관심 속에 대거 바뀐 투표소
부산 16개 구·군에서 137곳 위치 바뀌어
평일 선거에 학교, 동주민센터 섭외 난항
다음 달 2일 실시되는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서 투표소가 지난해 총선과 비교해 100곳 넘게 바뀐 것으로 확인됐다. 평일에 선거가 치러져 기존 투표소인 지역 학교, 노인정 등의 섭외가 어려웠던 탓인데, 교육감 선거에 대한 낮은 관심도에 더해 투표에 나서는 유권자들의 혼선이 우려된다.
25일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내달 2일 실시되는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투표소는 총 957곳이다. 지역의 학교, 공공시설을 포함해 경로당 등 민간시설이 대거 포함됐는데, <부산일보> 취재진이 지난해 4월 총선 투표소 명부와 이번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투표소 명부를 대조한 결과, 모두 137곳의 투표소 위치가 바뀌었다. 지난해 총선 당시 초등학교, 동주민센터에 투표소가 있었던 곳 일부는 일반 식당이나 경로당으로 투표 장소를 옮겼다. 기존처럼 동주민센터가 투표소여도, 업무를 보는 1층 대신 2~4층으로 투표소 위치를 옮기는 곳도 있었다.
부산 16개 구·군 투표소 중에서 영도구가 한 곳으로 제일 적게 바뀌었고, 해운대구가 15곳으로 제일 많이 변경됐다. 중앙동 제2투표소는 중부소방서에서 중앙동주민센터로 바뀌었는데, 두 곳은 직선거리로 650m 떨어져 있다. 투표소 위치가 바뀌면서 유권자가 불편을 겪을 수 있는 셈이다.
투표소 변경의 배경에는 평일 선거가 있다. 부산시선관위는 투표소 대관으로 공공기관에는 사례금 10만 원, 민간시설에는 임차금 50만 원을 지급한다. 공공기관 섭외가 수월할뿐더러 임대 비용도 저렴해 학교, 동주민센터 등 공공기관을 투표소로 섭외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공휴일로 지정되는 총선 투표일과 다르게 이번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투표일은 평일로 학교, 동주민센터 모두 정상적으로 업무를 보며 섭외 자체가 어려웠다.
특히 지난달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초등학생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학부모와 학생 불안감이 확산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투표 당일 불특정 다수가 학교에 출입하는 것에 대해 우려가 커, 투표소 장소 대여에 소극적이었다.
투표소 섭외를 진행한 지역의 한 주민센터 관계자는 “교육감 선거를 모르는 시설 담당자도 많았고 평일 업무를 해야 하는 시설도 많아서 무턱대고 협조를 구하기도 어려웠다”고 말했다.
평일 선거와 더불어 투표소 위치까지 바뀌면서 유권자의 혼란을 가중, 보궐 선거 투표율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대통령, 국회의원과 달리 교육감 선거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비교적 낮은 실정인데, 악재가 겹친 셈이다.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유권자 혼동을 최소화하고자 최대한 기존 투표소와 가까운 장소를 선정했다”고 말했다.
이번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투표소 위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전투표는 오는 28, 29일 이틀 동안 실시된다. 투표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각 가구에 투표소 적힌 안내문이 우편으로도 배송될 예정이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