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북극항로 개척"에 국민의힘 "글로벌 특별법부터"
'박-이 빈손 회동' 갈등 이어져
부산 민심 달래려는 야 여론전
여 "지역 현안 해법 모색" 맞불
尹 탄핵 결과에 후폭풍 커질 듯
박형준 부산시장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빈손 회동’(부산일보 지난 7일 자 1면 보도 등) 논란을 계기로 촉발된 부산 여야 간 갈등이 2차전, 연장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주 박 시장을 비난하는 규탄 기자회견으로 갈등의 불씨를 되살린 민주당 부산시당은 20일 특별 세미나를 열어 이 대표의 동남권 공약인 ‘북극항로 개척’에 대한 여론전을 펼쳤다. ‘북극항로’보다는 ‘KDB산업은행 부산 이전’과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특별법(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제정’이 더 시급하다는 현재의 부산 여론과 국민의힘 측 주장에 대해 타협점을 찾기보다 오히려 강공 전략을 취한 것이다. 이에 부산 여권은 지역 최대 현안이 거대 의석을 가진 민주당에 막혀 있다는 여론전을 적극 펼치며 차단에 나섰다. 이와 동시에 각 지역별 세부 현안 챙기기에 나서며 밑바닥 표심까지 훑는 전략에 돌입했다.
■북극항로 띄운 野 정책 발굴 나선 與
민주당 부산시당은 이날 부산일보사 소강당에서 ‘북극항로와 부산의 미래’를 주제로 한 특별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이재성 부산시당위원장과 변성완 북극항로개척특별위원장, 유동철 오륙도연구소장을 비롯해 각계 전문가가 참여했다.
이 시당위원장은 “북극항로 개척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해 조선과 해운, 항만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은 물론 북극항로를 통한 에너지 협력 확대로 한국의 에너지 수급과 북극해 크루즈 등 관광산업 발전에도 큰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민주당 부산시당은 북극항로 개척과 함께 광역경제권인 부울경 메가시티 2.0 정책을 연계해 부울경을 세계적인 물류 허브로 만들기 위한 입법과 정책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부연했다.
지역 여권은 부산시와 지역현안협력협의회 1차 회의를 갖고 여러 이유로 막혀있는 지역 현안들에 대한 해법 모색에 나선다. 권역별로 구성된 국민의힘 부산시당과 시의 지역현안협력협의회는 21일 남, 서동, 중영도 등 북항권역을 첫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이번 자리는 기존 부산 17명의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모두 참여해 주요 시정 현안 해결 방안 논의가 이뤄지는 예산정책협의회에서 한 단계 세부화된 형태다. 예산정책협의회에서는 부산 국민의힘 의원들이 대부분 참석하는 데다 박 시장을 비롯, 시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까닭에 지역별 세부 사업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어렵기 때문이다.
■‘박-이 갈등’ 연장선 해석
부산 여야 모두 이번 행사들이 지난 6일 박 시장과 이 대표의 빈손 회동과는 무관한 정책 행보라고 설명하지만 지역 정가에서는 ‘박형준-이재명 갈등’의 연장선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
양측은 두 사람이 만난 당일 브리핑을 통해 한 차례 공방을 벌인 바 있으며, 약 일주일이 지난 12일에는 민주당 시당이 기자회견을 통해 비공개 회동 내용의 진실을 두고 박 시장 측과 충돌한 바 있다. 여기다 여당 소속 부산시의원들은 시정질의와 5분 자유발언 등을 통해 대야 공세 전선에 뛰어들었다.
이 때문에 부산은 전국과 달리 정권 교체와 유지 여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5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는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 의견은 50.1%,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은 46.6%로 한 자리대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전국에서는 정권 교체 연장 응답이 각각 55.5%, 40.0%로 PK와는 대조된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지역 정가 인사는 “이 대표가 야심차게 부산을 찾아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혔음에도 박 시장과의 빈손 회동 논란으로 곤란에 처한 상황으로 보인다”며 “다음 주로 전망되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해당 사태에 대한 후폭풍은 더욱 거세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인용된 여론조사는 무선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다. 자세한 내용 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