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쇼크에 흔들리는 K밸류업…KB·신한금융 주가 ‘폭락’
KB금융 주가 하루 만에 10%↓
신한지주도 5% 넘게 하락
외국인 매도세 영향 분석
비상계엄 사태의 후폭풍으로 국내 주요 금융지주의 주가가 일제히 폭락했다.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해온 밸류업 프로그램이 계엄 쇼크로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금융주의 대장 격인 KB금융 주가는 이날 하루만 10% 넘게 하락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KB금융은 전 거래일 대비 9600원(10.06%) 내린 8만 5800원에 마감했다. 신한지주(-5.50%), 하나금융지주(-3.25%), 우리금융지주(-3.77%), 메리츠금융지주(-3.46%), 삼성화재(-5.20%), 기업은행(-3.50%), 삼성증권(-3.78%), 키움증권(-5.32%) 등도 일제히 동반 하락했다.
비상계엄 사태 이튿날인 전날에도 금융주는 동반 약세를 보였다. 이날 업종별 등락률을 봐도 보험(-3.69%), 금융업(-3.59%)이 가장 낙폭이 컸다. 증권(-2.22%) 역시 하락했다. 배당 기대감에 외국인 매수세가 컸던 현대차(-2.15%), 기아(-4.18%)도 약세를 나타냈다.
시장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경제 정책 중 하나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망가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윤석열 정부의 밸류업 정책에 대한 추진 동력에 대한 의구심이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낮아지는 배당 기대감에 비해 지속적인 원·달러 환율 상승도 외국인들의 매도 욕구를 키우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외국인 순매도 금액 상위 종목 1위는 삼성전자(3443억 원)였고, KB금융(1433억 원), 신한지주(582억 원), 기아(253억 원), 하나금융지주(245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기업 공시의 책임과 증시의 국제 신뢰도 등을 감안하면 우려가 과도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중에 발표된 주주환원 정책을 원안대로 이행하지 못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는 충분히 합리적"이라면서도 "기대 수익률을 고려하면 현 수준의 하락은 과도하다"며 주가가 바닥에 근접했다고 평가했다.
김윤정 LS증권 연구원도 "밸류업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는 큰 암초를 만났지만, 코리아 디스타운트 해소라는 금융당국의 목표는 불변의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