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건축 이야기] 15. 부평동 상가주택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소통과 공감' 예스러움과 현대의 어울림

한 집의 구체적인 역사가 도시의 역사를 만든다. 부산 중구 부평시장 상가주택은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를 상상하는 것에 대한 의미를 일깨워 준 훌륭한 건축물이다. 사진은 부평시장 상가주택 전경. 사진=건축사진작가 윤준환 제공.

가끔 정리란 단어를 생각해본다. 우리는 사물을 정리한답시고, 모조리 반듯하게 없애버린다. 기억을 지워 버리고 선명한 것을 추구하는 것은 파시즘적 일사불란함이 아닐까. 하지만 부족한 것, 심지어는 쓰레기 같은 것들도 품을 줄 알아야 건강한 사회다. 오히려 할머니 할아버지의 손때 묻은 게 더 정겹고 우리에게 살아가는 힘을 준다.

여기, 부산의 촉망받는 한 젊은 건축가인 리을도랑 김성률 대표는 전통시장의 한 상점으로부터 건축 설계를 의뢰받았다. 김 대표의 마음도 움직였다. 한 가족의 손때 자국을 허투루 여기지 않고 오롯이 지켜낸 결과물이 부평동 상가주택이다.

일본식 가옥과 현대건축의 만남
상점 안팎 공간의 경계 허물어
가족의 역사와 향수 오롯이 담아

기존 틀 깨고 생소한 방식 선택
옥상테라스·2층 지붕에 중간층
두 공간의 만남이 마당 겸 발코니


부산 중구 부평시장(깡통시장)에 있는 돼지수육과 국밥을 파는 상가주택인 '남해집'. 김 대표는 전통과 현대를 혼융시켜 절묘하게 결합했다. 일본식 상가주택 증축 리모델링이다. 상점 밖으로 나오면 마당이 아니라, 골목이다. 너와 나의 경계가 사라지는 장소다. 그는 여기서 과거와 현대, 그리고 건축주와 손님 간에 소통하는 '공감의 건축'을 시도했다.

공감의 영어 단어 'compathy'는 '함께'를 뜻하는 'com'과 '슬픔'을 뜻하는 'pathos'의 결합이다. 즉 공감이란 타인의 어려움을 함께 느끼는 것이다. 역지사지의 태도가 바로 공감의 출발이다. 김 대표 역시 어릴 때 시골 벽촌에서 자라 그 향수의 끈을 지금도 놓지 않는다. 그가 타인을 대할 때 느껴지는 따뜻한 시선의 힘은 어느 사물 하나, 어느 기억 하나도 간과하지 않게 만들었다. 그 체험의 진정성은 지난 30년 넘게 한 곳에서 수육가게를 하는 한 가족의 역사를 알토란 같이 구성해냈다. 김 대표는 '내가 느끼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느끼는 것'을 인지하고 그것을 직관적인 건축 언어로 풀어낸 것이다. 

박공지붕 형태의 내부 2층 공간
상점들이 밀집한 부평시장에서 발견한 상가주택은 건축물은 평범하지 않았다. 대중과 소통하지 못하는 '건축적 가상'이란 경계를 설정하지 않았다. 그가 체득한 대로, 가족들이 생성했던 기억의 침전물로 가족의 역사를 조직해냈다. 상가주택 두 남매는 이 집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살아왔다. 가족 집에 대한 애착은 몇 해 전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향수와 더불어 추억이 담긴 공간을 지키고자 한 것에서 비롯됐다.

김 대표는 여기에 상응했다. 그 또한 일본식 상가주택 리모델링이라는 다소 생소한 방식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일본식 가옥을 고스란히 간직하는 경우는 더러 있지만, 현대건축과 결합해 상가주택을 만든 것은 전례가 거의 없다.
 
기존 주택은 일렬로 배치된 일본식 주택의 전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1층은 상가로 활용돼, 김 대표가 할 수 있었던 곳은 시장에 면하고 있는 박공지붕의 2층뿐이었다. 건축주는 발코니를 요구했다. 2층 기존주택 지붕으로 인해 3층 면적을 활용하기란 너무 좁았다. 그는 발상을 바꿔 옥상테라스를 2층 지붕과 연계해 중간층에 빈 공간을 만들어 마당으로 활용했다. 케이크 자르듯, 중간 공간을 비워둠으로써 기존 건물과 증축된 건물 간의 완충공간이자 두 공간의 접점인 마당 겸 발코니를 만들었다. 마치 공중에 떠서 있는 듯하다. 연면적 75평 규모로, 마당 아래층 2층 공간은 어머니, 마당 위층인 4층은 아들이 사는 공간이다. 설계 1년, 시공 1년에 2년 가까운 열정을 쏟았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건물을 짓는 것은 시를 짓는 것과 같아요. 시가 기존 관념과의 끝없는 싸움이듯, 건축 역시 기존 틀과의 싸움이라고 생각해요"라며 "일반적인 단어 몇 개로 수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시를 좋아합니다. 저 역시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그런 건축을 하고 싶어요"라고 말한다. 실제 그의 건축은 건축가가 꼭 설명하지 않아도 건축물만 봐도 건축물이 무엇을 말하는지 마음에 들어온다. 이처럼 그의 건축은 직관성이 강하다. 그 직관성은 독특한 캐릭터로 확장돼 설득력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말하자면 그의 건축적 언어는 동시(童詩)에 가깝다. 
역발상적으로 설계한 중간 완충지대인 마당
최근 마을재생 사업은 장소에 대한 '경이감'의 실종, 살아있는 전통과 역사와 단절되고 그 공간은 박제화된 공간으로 변하는 양상이다. 하지만 건축물 하나하나가 그 마을을 구성하고, 그 마을은 다시 도시를 구성한다. 그의 작업은 도시의 '뻣뻣함'을 바꾸고 있으며. 그의 '질긴 건축'은 부산 건축의 토양을 풍성하게 하고 있다.

박태성 문화전문기자 pt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