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부산금융중심지 지정 10주년과 시장 조성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홍배 동서대 글로벌경영학부 교수

2019년 1월은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지 꼭 10년이 된다. 그러나 부산은 금융도시가 아니라 금융 관련 공기업 집적 도시이다. 그 이유는 민간 금융시장의 일자리가 제대로 없기 때문이다. 노무현 정부의 당초 계획은 공기업 이전을 통해 민간금융시장이 발전하는 낙수 효과를 구상하였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지역산업과 이전 공기업과의 연계성 또는 이전 공기업들의 시장조성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지방 이전에 대한 저항과 임기 내 이전 확정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여느 혁신도시들과 같이 부산도 금융중심지를 향한 구체적인 전략은 없었다.

그런데 설상가상으로 금융중심지 육성을 둘러싸고 핵심을 벗어난 일들이 과거 10년 동안, 그리고 현재도 진행되고 있다. 첫째, 산업은행 등 금융기관의 추가 이전으로 금융중심지 사업이 궤도에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싱가포르는 선박금융보다는 원자재와 외환 등 다양한 금융 콘텐츠로서 금융 국가를 이루었음을 이해하길 바란다. 둘째, 거래소 수입 및 지방세수에 관련된 대체거래소(AST) 설립 반대와 파생시장 규제에 대한 비판이다. 다음으로 금융센터 완공에 대한 조급증이다. 마지막 두 가지는 금융중심지 육성을 위한 재원 및 인프라 조성의 문제이다. 핵심이 아닌 변죽과 현혹으로는 부산의 미래, 금융 도시로 갈 수 없다. 핵심은 금융시장 생태계 조성이다.

지금 전주를 보라. 국민연금의 거대한 자금을 바탕으로 외국계뿐만 아니라 국내 민간 금융회사들이 하나씩 모여들고 있다. 민간금융 회사들이 올 때 인프라를 조성해도 늦지 않다. 이해자의 이익을 위해 금융중심지 본질을 벗어난 사업은 이제 멈추기 바란다.

작년 11월 자산운용 금융중심지를 꿈꾸는 전주에서 전북도청의 후원으로 ‘한국 금융공학 학회’와 ‘금융중심지 혁신포럼’이 개최됐다. 이 모임에서 지방의 문제를 지방이 해결하자는 관점에서 열띤 토론을 하였다. 포럼을 이끌고 있는 이유태 교수는 부산시가 추진하는 블록체인 도시를 위해 레그테크(RegTech) 활성화를 제안하였고, 참석한 회원들은 ‘전주-부산 간 금융 공기업 교환을 통한 금융 비지니스 생태계 강화“를 위한 상호협력을 제안하였다.

금융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한가지 제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부산은 항만, 선박 그리고 수산업으로 해양금융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부산이 금융도시라 불리는 것은 파생금융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어느 도시보다 파생 자산운용과 대체투자의 대상자산이 될 테스트베드 시장을 많이 가지고 있다. 가령, 다양한 헤지펀드 지수를 만들 수 있는 거래소, 동남권 탄소배출시장, 국제영화제, 관광자원을 수용할 리조트사업, 기술보증기금의 스타트업, 증권예탁원의 핀테크와 블록체인사업, 주택금융공사의 도시재생사업 등등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풍부한 대체투자 시장에서 활약할 우수한 플레이어들을 유입시킬 강력한 투자주체가 없다는 점이다. 풍부한 자본으로 유입된 플레이어들은 선별된 투자로 금융시장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다.

투자주체의 형성을 위해 부산시는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 지역 정치인들은 컨텐츠 없는 지방분권과 방임주의적 진영에서 벗어나 선한 협력으로 성과를 만들기 바란다. 세계 자산운용시장의 중심을 만들어낸 캘리포니아주의 정치인처럼 부산시 정치인들도 역사의 마일스톤에 기록되길 소망한다. 2019년 1월에, 당돌한 10살 청년 금융중심지 부산은 부산시와 지역 정치인에게는 성찰의 시간을, 문재인 정부에게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미완의 과제에 대해 결자해지를 각각 요구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