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학산 이어 황령산도 산사태 ‘위험천만’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속보=수십t의 바위와 토사가 쏟아져 인근 도로를 덮친 부산 사하구 승학산 산사태(본보 지난달 25일 자 10면 등 보도)에 이어 황령산에서도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부산시는 산사태 발생 지점이 산지관리법상 도로라는 이유로 관리에 손을 놓고 있어 대형 산사태를 방치하고 있다.

10일 정부출연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지난 5년 간 부산 전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 끝에 황령산과 승학산이 산사태에 특히 취약하다고 밝혔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에 산사태가 발생한 승학산과 더불어 황령산도 포행토(자갈과 모래가 쌓여 빈 곳이 많은 토층)로 이뤄져 있고, 지반 대부분이 화산암류와 퇴적암류로 구성돼 있다”며 “이 구조는 풍화와 침식에 약하고 지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해 침식 속도 차이에 의한 절벽면 생성과 포행(토사가 느린 속도로 쓸려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해 산사태로 이어지기 쉽다”고 진단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진단

승학산보다 토층에 빈 공간 많고

지반 취약 대형 재난 가능성

1999년 산사태 발생 지역

관리 주체 없이 방치 안전 위협

연구원에 따르면 황령산은 특히 승학산보다 토층에 빈공간이 많고 포행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해 대형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더 높다. 실제 황령산에선 1999년 대형 산사태가 빚어져 1명이 숨지고 3명이 크게 다쳤고, 석 달 뒤 복구공사 작업 중에는 1000t의 토사가 다시 쏟아져 내려 황령터널을 덮치기도 했다. 2002년 발간 지질공학회지의 학술지에도 황령산의 낙석과 포행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같은 연구 결과에도 시는 승학산과 황령산 두 곳 모두 ‘산사태 위험지’로 지정하지 않고 있다. 또 시 2019년 산사태 예방사업에 포함된 산지 목록 15곳 중에 승학산과 황령산은 제외됐다. 시 관계자는 “황령산, 승학산 산사태 지점 모두 산지관리법상 도로로 분류돼 산사태취약지로 지정하지 않았다”며 “올해 산사태 등 예방사업의 예산 45억 9400만 원 대상지 중 황령산과 승학산 산사태 발생지와 그 인근 부지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산사태 관리 주체도 불분명하다. 시는 산사태 발생지의 관리 주체가 어디인지 파악도 못 하는 상황이다. 시는 황령산 산사태 발생지 관리 주체가 남구청이라고 말했지만, 남구청은 ‘모르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남구청 관계자는 “산사태 발생 이후 진행된 보수공사 이후에는 따로 관리하지 않고 기록도 없다”며 “시 책임 아니냐”고 반문했다.

황령산 산사태 발생지 주변에는 요양병원 등이 있고 승학산 산사태 발생지 인근은 1000여 세대의 아파트 단지와 초등학교가 있어 산사태 재발 시 ‘재난’이 우려된다.

이에 부서와 구·군 간 ‘떠넘기기’ 행정이 아닌, 재난 통합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질환경재해연구센터 송영석 센터장은 “사전에 위험지역을 미리 인지한 다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부산시는 관련 체계를 구축하지 않고 있다”며 “시민 안전을 위해 유동적인 위험지 파악으로 봄과 여름에 잦은 산사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