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씨돌 용현' 김용현 씨 안타까운 근황… "인간으로서 당연한 일"

박정미 부산닷컴 기자 like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SBS스페셜' 'SBS스페셜'

14일 오전 방송된 'SBS스페셜'에서는 대한민국 어디에나 있었고, 어디에도 없었던 '요한, 씨돌, 용현'의 인생 궤적을 따라가 본다.

용현, 요한으로 살아온 그는 2012년 강원 정선 봉화치 마을에서 씨돌이라 불리며 지냈다. 요한, 씨돌, 용현은 모두 한 사람의 이름으로 본명으로 김용현 씨다.

SBS는 용현의 아내를 만나 그가 미국 주간지 '타임'에서 아시아를 무대로 활동하는 사진기자로 일한 흔적도 발견했다. 남을 위해 살면 바보라고 말하는 세상에서 그는 왜 자신을 희생하며 살았던 것일까.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은데, 그는 의외의 곳에 있었다.

병원에서 만난 용현은 전과 많이 달라진 모습이었다. 의료진은 요현에 대해 "뇌 중심부의 시상 핵이라는 부분에 뇌출혈이 크게 발생했다. 안타깝지만 뇌는 더 이상 회복을 기대하기 힘들다. 우측 반신마비는 평생 갖고 살아야 하고 언어장애로 소통이 안된다"고 설명했다. 산에서 홀로 일하던 용현이 뇌출혈로 쓰러졌고 지나가던 등산객이 그를 발견해 병원으로 옮겼다고 했다.

방송 말미 PD가 용현에게 “정작 본인에게 도움 되거나 관계되는 일이 없었다. 왜 그런 삶을 살았나”라고 묻자 대화가 불편한 김씨는 “인간으로서 당연한 일”이라고 글로 답했다.

방송 후 '요한, 씨돌, 용현'의 이야기는 SNS에서 큰 화제가 됐다. 그를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지정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올라오고 후원계좌까지 개설될 만큼 많은 이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 씨돌, 7년 전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은 자연인

누군가는 괴짜라고 했고, 또 누군가는 산신령이라고 했다. 하늘과 한 걸음 더 가까운 해발 800미터, 정선 봉화치 마을에는 ‘씨돌’이 산다. 씨돌이 사는 방식은 우리네 일반적인 삶과는 많이 다르다. 첫 번째는 농사법인데, 밭에 씨를 뿌린 뒤 잡초도 제거하고 약도 뿌리는 것과는 달리, 씨를 뿌리고 수확할 때까지 알아서 자라도록 놔둔다. 때문에 그의 텃밭은 풀이 무성하고 각종 벌레들과 심지어 뱀도 산다. 두 번째는 차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인데, 정선 읍내에 나갈라치면 차를 이용하지 않고 편도 세 시간동안 두 발로 걸어서 간다.

그가 이처럼 불편하고 느리게 살아가는 이유는,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봉화치의 자연을 사랑하는 씨돌은 봄에는 도롱뇽을 살리기 위해 이웃농민들이 밭에 제초제를 치는 것을 온몸으로 막아서고, 겨울에는 사냥꾼들이 고라니를 잡는 것을 막기 위해 눈밭 위에 찍힌 고라니의 발자국을 지우고 다닌다. 그의 자연 사랑이 유별나지만 마을 사람들은 그런 씨돌을 있는 그대로 좋아하고 사랑한다.

특히 씨돌의 윗집에 사는 옥희 할머니는 그를 살뜰히 챙긴다. 봄이 되면, 봉화치에서 나는 자연 재료들을 이용해 맛깔스런 음식들을 만들어 씨돌과 함께 나눈다. 그러면 씨돌은 혼자서 농사를 짓는 옥희 할머니를 위해 기꺼이 일손을 거들고, 이따금씩 풀꽃들을 따다 옥희 할머니께 선물하기도 한다. 매일 같이 아웅다웅 하면서도 서로를 걱정하는 봉화치의 절친인 씨돌과 옥희 할머니. 그런데, 봉화치의 소박한 일상은 몇 년 전부터 불가능해졌다. 씨돌이 봉화치를 떠난 것이다. 어디로 가는지, 언제 다시 돌아오는지 아무런 말도 없이 떠난 씨돌. 옥희 할머니와 봉화치 주민들은 지금도 그를 기다리고 있다.

# 요한, 담을 넘어 온 청년

매일 쓰는 안경도, 외출할 때마다 길동무가 돼주는 지팡이도 깜빡할 정도로 기억력이 많이 떨어진 여든 여섯 살의 분이 할머니는 30년이 지나도 잊히지 않고 오히려 더욱 또렷해지는 얼굴이 있다고 했다. 그의 이름은 ‘요한’이다. 1987년 12월, 분이 할머니는 상병으로 복무 중이던 막내아들 연관을 잃었다. 군에서는 훈련을 받던 중 연관이 갑자기 쓰러져 깨어나지 못하고 숨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연관의 사망에 대해 미심쩍은 게 많았지만 달리 할 수 있는 게 없었던 가족들 앞에 어느 날 요한이 찾아왔다.

보안부대의 감시를 피해 담장을 뛰어넘어 집 안으로 몸을 숨긴 이 청년. 그의 말은 더욱 놀라웠다. 연관이 사망한 진짜 이유가 따로 있다는 것이다. 1987년 6월, 전국에서 들불처럼 일어난 민주항쟁으로 전두환 군사정권이 백기를 들고 물러나면서, 시민들은 16년 만에 내 손으로 대통령을 뽑게 된다. 군에서는 처음으로 부재자투표를 실시하게 되는데, 요한은 이 부재자투표 때문에 연관이 사망한 것이라고 말했다. 투표를 앞두고 군 상부에서 여당 후보를 찍으라고 지시 했는데 연관이 이를 어기고 야당 후보에게 표를 행사했다가 구타를 당해 숨졌다는 것이다.

분이 할머니와 가족들은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아들 연관의 억울한 죽음을 알렸다. 돈이나 대가를 바라지 않고 아들 연관의 죽음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애써준 요한. 그 덕분에 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는, 연관이 군에서 야권 후보에 투표했다가 선임들에게 폭행당해 숨졌다고 인정했다. 그리고 요한은 의문사가 인정되자마자 분이 할머니에게 짧은 인사만 남기고 홀연히 사라져 버렸다. 요한의 정체는 무엇이며, 왜 그토록 열심히 뛰어다니며 도와준 걸까. 그리고 갑자기 사라진 이유는 뭘까.

# 故 김승훈 신부, 목숨을 구해준 인연

1987년 5월 18일 명동성당에서는 김수환 추기경의 집전으로 ‘5.18 광주 희생자 추모 미사’가 열렸다. 미사가 끝난 뒤, 김승훈 신부는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진상이 조작되었다’고 발표했다. 당시 김승훈 신부가 주임 신부로 있던 홍제동 성당 주변에는 항상 형사들의 감시가 삼엄했다. 하지만 자녀를 잃은 부모들과 오갈 곳 없는 학생들, 경찰에게 쫓기던 시민들까지, 그를 찾아오는 사람들을 모른 척 할 수 없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정신적 버팀목이 되어주고, 안전한 곳으로 몸을 피하게 도와주었던 것이다. 그 가운데 요한도 포함되어 있었다. ‘요한’이 어떻게 봉화치마을의 자연인 ‘씨돌’이 되었는지, 그 실마리를 따라가 본다.

# 또 다른 ‘용현’의 이야기

1987년 6월 29일 '타임' 잡지의 기사에서 ‘용현’의 사진을 발견했다. 그날 대한민국 거리에서는 ‘호헌철폐, 독재타도’ 외침이 퍼졌다. 최루탄이 무자비하게 날아왔고, 거리의 많은 시민은 고통을 호소했다. 1974년부터 아시아를 무대로 활동하던 사진기자 그렉 데이비스는 한국에 주목했다.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하는 순간을 카메라에 담았다.


박정미 부산닷컴 기자 likepea@busan.com


박정미 부산닷컴 기자 like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