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공공의료통역시스템 확장해야”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민간단체가 구축하고 부산시가 지원하는 부산의 이주민 공공의료통역시스템이 도입 10주년을 맞았다. 10년간 우여곡절을 겪으며 안정적인 시스템을 갖추는 데는 성공했지만, 전문성 강화와 사업 확장 등의 문제가 과제로 남았다.

부산시 도입 10년 사업 보고회

주요 병원 통역사 상주 등 성과

전문 인력 양성·외연 확대 과제

㈔이주민과함께 부설 이주민통번역센터 링크는 19일 오후 2시 부산시의회 의원회관 회의실에서 ‘부산시 외국인근로자 등 의료통역 지원사업 보고회’를 개최했다. ‘부산시 외국인근로자 등 의료통역 지원사업’은 외국인 환자가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의료진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이주민 활동가들이 통역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이주민 공공의료 통번역 지원을 이용한 건수는 862건이었으며, 올해는 8월 기준 1051건으로 늘었다.

부산시 이주민 공공의료통역시스템은 점차 자리를 잡아 가는 모양새다. 2010년 이주민과함께가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후원으로 시스템을 구축한 지 10년 만인 올해 3월부터 부산의 주요 공공병원에 이주민 환자를 위한 통역사가 상주하게 됐다. 부산의료원은 주5일 월·화요일에 베트남어, 수·금요일에 필리핀어와 영어, 목요일에 중국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며, 부산대병원은 월·화·목요일에 베트남어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부터는 시의 예산도 대폭 늘어났다. 시는 2012년부터 500만 원을 지원하다 2016년부터 1000만 원을 지급해 왔으나, 올해는 이 사업에 5000만 원을 편성했다.

이주민 통번역 시스템이 어느 정도 기틀을 갖췄지만, 여전히 가야 할 길은 멀다. 현재 예산 등의 문제로 이주민 무료진료소에는 파견 인력이 배치돼 있지 않은 상태며, 병원에 상주하는 통번역 인력도 넉넉하지 않은 상황이다. 또 통역 활동에 대한 예산 지원뿐 아니라 통역활동가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데도 예산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이주민통번역센터 링크는 부산시에 의료통역 지원 사업을 ‘이주민 공공의료통역체계 구축’으로 확대할 것과 전문인력 자격인증제도 도입, 이주민 공공의료통역 거점인 링크에 행정 지원을 요구했다. 서유리 기자 yool@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