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코로나 위험 특·광역시 중 2번째로 낮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얀센 백신 접종자에 대한 추가접종(부스터샷)이 시작된 8일 오후 서울 양천구의 한 병원을 찾은 시민이 부스터샷 접종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에서 지난해 1월 코로나19 첫 환자가 나온 뒤 ‘위드 코로나’로 전환이 이뤄지기까지, 부산의 인구 대비 확진자 비율이 광역시·도 중 최하위 수준을 유지했다. 인구 밀집도 2위 도시라는 걸 고려하면 방역에 비교적 선방한 셈이다.

이에 비해 서울은 인구 대비 확진자 발생률이 부산의 3배를 넘어서, 초과밀의 ‘서울 공화국’이 감염병에 취약하다는 사실이 재차 확인됐다.

10만 명당 확진자 발생률 422
전국 평균 736보다 훨씬 낮아
인구 밀집도 2위 비해 방역 선방
서울 감염 가능성 ‘부산의 3배’

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부산의 코로나19 발생률(인구 10만 명당 확진자 수)은 422이다. 이는 전국 평균 736보다 낮고, 세종시를 포함해 17개 지자체 중 11번째 성적표다. 특히 7개 특별·광역시 중 광주 379에 이어 두 번째로 낮다. 누적 확진자 1만 4318명은 전국 지자체 중 5번째로 큰 규모지만, 인구에 비춰보면 확진자 발생 비율은 오히려 안정적인 셈이다.

인구 밀집도 기준으로 위드 코로나 전환까지 부산의 방역 성적은 상당히 양호했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부산의 인구 밀집도는 4342명/k㎡으로, 서울에 이어 전국 지자체 중 2번째이다. 통상 감염병은 인구 밀집도가 올라가면, 확진자 발생 비율이 높아진다. 같은 인구라 하더라도 더 밀집하면 확진자가 늘어나는 원리로, 농어촌 지역이 많을수록 확진자가 적게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인구 밀집도만 보면, 부산의 확진자 발생률이 상위권을 기록했어도 크게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부산시 관계자는 “아쉬운 점도 있지만 지난해 1월부터 위드 코로나가 시작된 지금까지 1년 10개월의 성적표로는 괜찮은 편”이라며 “무엇보다 시민들의 방역 지침 준수가 뛰어났으며, 자영업자들의 희생도 컸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 등 수도권은 인구 규모를 감안해도 지나치게 확진자 발생률이 높은 상태에서 위드 코로나를 맞게 됐다. 서울의 코로나19 발생률은 1306으로, 부산의 3.1배 수준이다. 이는 서울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이 부산의 3배 정도라는 뜻이다. 경기도와 인천의 발생률도 각각 849, 697로 부산을 압도했다. 방역 체계가 잡히기 전 일명 신천지발 집단 감염이 휩쓸었던 대구(725)를 제외하면, 수도권 3개 지자체는 고위험 감염 지역으로 분류된다.

특히 장기간 거리 두기 4단계 적용 등 비수도권보다 훨씬 강력한 방역 제재가 이뤄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서울 공화국’의 구조적 한계가 드러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수도권의 과밀 정도가 임계점을 넘어서면서 특단의 방역 체제도 무력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코로나19와 비슷한 감염병이 유행할 경우 수도권은 또다시 ‘방역 구멍’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7일 부산에선 신규 34명이 발생했다. 특히 확진자 동선에 포함된 연제구 목욕탕에서 지난 5~7일까지 이용자 19명과 접촉자 11명이 확진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 누적 환자는 36명(이용자 23명, 종사자 2명, 접촉자 11명)이다. 경남에서는 75명(창원 45명, 고성 10명, 진주 5명, 양산 4명, 통영·김해 각각 3명, 사천·밀양 각각 2명, 거제 1명), 울산에서는 3명이 확진됐다.

김백상·김길수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