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양이 급식소, 찬반 논란 넘어 공존 방안 찾을 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주인 없는 길고양이 돌봄을 위한 급식소 운영을 두고 찬반 갈등이 곳곳에서 불거지고 있다. 부산 동래구에서는 100명에 가까운 주민들이 길고양이 피해를 호소하는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부산시는 길고양이 급식소 운영을 지원하고 있지만, 주변 관리에 대한 홍보는 여전히 부족하다.

5일 오후 4시께 부산 동래구 안락동의 한 도로. 사람이 오가는 길가 한쪽에서 엎드려 있는 고양이들을 쉽게 목격할 수 있었다. 고양이들은 인근에 주차된 차량 밑에 들어가 숨어 있거나 높지 않은 담장을 이리저리 넘어 다니고 있었다.

캣맘·캣대디 급식소 설치 요청에
“고양이 울음소리·배설물로 피해”
안락동 주민 96명 동래구청 진정
급식소 갈등 잇달아도 중재 부족
돌봄 규정 만들어 갈등 줄여야


인근 사찰인 전등사로 향하는 길목에는 고양이 배설물이 굳은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됐고 아직 치워지지 않은 배설물도 여럿 발견됐다. 도로 한쪽에는 누군가가 비닐에 싸놓은 고양이 사료 더미가 놓여있었다. 급식통에 사료를 주는 형태의 사설 급식소가 있었지만 주민 항의가 거세자 일명 캣맘들이 간이로 먹이를 놔둔 것이다.

급식소가 사라지지 않자 지난달 20일 전등사 신도를 포함한 안락동 주민 96명은 동래구청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제출한 진정서에서 안락동 인근에 있는 수많은 고양이 울음소리와 배설물 등으로 심각한 피해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올해 8월에는 사찰 관계자들이 고양이에게 밥 주는 것을 저지하자 고양이를 돌보는 이들이 집단으로 사찰을 항의방문해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전등사 도문 주지스님은 “고양이가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울어대는 통에 수행에 집중할 수가 없고, 법당 안에까지 배설물을 남기고 가는 상황”이라면서 “냄새나 소음 등 피해는 왜 우리가 모두 책임져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한 갈등 상황에서 동래구청 측도 길고양이에게 먹이 주는 것을 법적으로 제재할 수는 없는 사항이라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동래구청은 해당 구역에 중성화 작업을 집중적으로 진행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동래구청 일자리경제과 관계자는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는 동물보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법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면서 “지난달 캣맘들과 간담회를 개최해 배설물 청소, 먹이 주는 곳 주변의 환경 정비 등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길고양이 급식소 갈등은 동래구만의 문제가 아니다. 부산시는 2016년부터 지금까지 총 143개의 길고양이 급식소를 마련했다. 캣맘·캣대디들이 각 구·군청에 급식소를 요청해 설치하면 이들이 자율적으로 사료와 물을 채우는 시설이다. 이 밖에도 부산 시내 곳곳에 사설 급식소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급식소가 길고양이를 모이게 해서 울음소리와 배설물 피해를 입고 있다며 반대하는 주민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길고양이 급식소 갈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부산시와 각 구·군의 중재는 소극적인 상황이다.

서울시가 ‘길고양이 돌봄 기준’을 마련해 길고양이 돌봄뿐 아니라 이들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갈등 중재에 나선 것과 대조적이다. 2018년 서울시가 마련한 돌봄 기준에는 길고양이 배설물 등 주변 환경 청소, 민원 발생 시 객관적인 자세 유지와 소통 등 길고양이를 돌보는 시민들이 알아야 할 원칙이 담겼다. 반면 아직 부산에서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돌봄 기준 등의 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동물보호단체도 길고양이 돌봄에 대한 의식 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길고양이를 돌보는 이들이 책임감을 갖는 동시에, 일반 주민들도 먹이주는 행위를 동물보호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바른동물사랑시민연대 ‘나눔’의 박진환 공동대표는 “일부 지역에서는 캣맘들이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덕분에 고양이가 쓰레기 봉지를 파헤치는 등의 문제가 해결됐다”면서 “지자체에서는 중성화수술을 진행하고, 고양이를 돌보는 사람들은 주위를 청소하는 등 주변환경을 충분히 고려한다면 함께 공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 동물복지지원단 관계자는 “책임의식 강화를 통해 길고양이와 시민이 함께 지낼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