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작은학교' 되살아나야 부산 교육 미래 있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의 학령인구가 급감하면서 지역 학교가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고 한다. 저출산 풍조에다 구직을 위해 수도권 등지로 떠나는 인구 유출 현상이 겹쳤기 때문이다. 교육부와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2012년부터 올해까지 10년 동안 부산에서 22개 학교가 사라져 전국 특별·광역시 전체 폐교 중 가장 많은 38.6%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학생수 등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통폐합된 곳이 20개에 달한다. 최근 전국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부산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만든다. 이 때문에 시교육청이 작은학교 살리기에 나서기로 했다니 늦은 감은 있지만, 천만다행한 일이다.

지역 폐교 전국 최다, 교육 불균형 심화
소규모 학교 강점 살릴 종합 대책 절실

시교육청은 그동안 학생수가 적은 학교에 대해 교육적 가치보다는 경제적 논리를 우선 적용해 통폐합하는 행정을 펼쳤다. 지난 10년간 부산의 폐교가 22곳이나 되는 것은 교육부가 권장하는 적정 규모(초등교 240명 이하·중등교 300명 이하)에 못미칠 경우 합리적 대안을 찾기보다 손쉽게 문을 닫도록 조치한 결과다. 이 기준에 따라 지역에서 폐교 예정인 학교도 19곳에 이른다. 공교롭게도 사라지거나 폐교가 예상되는 학교가 인구 급감과 학령인구 감소세가 두드러진 원도심과 옛 공업지대에 집중돼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지역 간, 학교 간 학생수 및 교육의 불균형을 심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어서다.

실제로 부산시와 시교육청의 교육 관련 예산이 큰 학교를 중심으로 몰리고 있는 게 사실이다. 반면 소규모 학교는 학생수가 적거나 폐교 대상이라는 이유로 노후 시설 개보수 비용조차 없어 교육환경이 갈수록 열악해진다. 도심 학교는 인구 유출과 학생 부족으로 급속히 쪼그라들어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이지만, 아파트 단지가 잇따라 들어선 신도시 지역은 과밀 학급으로 몸살을 앓을 정도다. 폐교가 많은 지역은 ‘학교 소멸’로 끝나지 않고 지역 학생들에게 큰 불편을 주는 장거리 통학 등 또 다른 부작용에 시달린다. 원도심 폐교는 지역사회를 위축시키고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할 우려가 큰 만큼 작은학교를 살리려는 교육당국의 노력이 절실하다.

이 같은 교육 현실과 문제점들은 가 최근 9회에 걸쳐 집중 보도한 ‘학교가 사라진다’라는 탐사 기획물에서 잘 드러난다. 국내외 작은학교 취재를 통해 해결 방향을 제시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한 건 부산 대표 언론으로서 공공 저널리즘을 구현했다고 높이 평가할 만하다. 때마침 시교육청이 17일 작은학교 지원 계획을 밝혀 고무적이다. 소외된 초·중·고교 74곳에 교원 96명을 추가 배치하는 등 교육여건 개선과 지원에 나서겠다는 결정은 잘한 일이다. 부디 일회성 처방에 그치지 않고 작은학교의 강점을 충분히 살려 부산 교육의 미래를 밝힐 수 있는 종합적이고 치밀한 대책으로 교육 현장의 ‘부익부 빈익빈’ 악순환을 막기를 바란다. 원도심 시민들의 소망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