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군함도’ 이어 ‘사도광산’까지 세계유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일본 정부가 세계문화유산 등록 후보로 추천할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의 갱 내부 모습.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 광산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록 후보로 추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23일 파악됐다.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나 징용에 관한 책임 회피 전략으로 일관하는 등 역사 왜곡을 조장한 점에 비춰보면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도 2015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와 비슷한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
유네스코 유산 후보로 추천 유력
제출 땐 2023년 등재 여부 결정
역사 제대로 기재할지 불투명

일본 문화청 관계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목표로 할 일본 후보로 니가타현 ‘사도시마노킨잔’(사도 광산)을 추천하는 방안을 문화심의회가 검토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에서 검토 중인 대상은 사도 광산 뿐이다. 만약 사도 광산이 후보로 결정되면 일본 정부는 내년 2월 1일까지 유네스코에 정식으로 추천서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등재 여부는 유네스코 자문기관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심사와 권고를 거쳐 2023년에 정식 결정될 전망이다.

사도 광산은 에도(江戶)시대에는 금광으로 유명했으나 태평양 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 철,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활용됐다. 일제는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 조선인 노무자를 사도 광산에 대거 동원했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발간한 자료에 의하면 사도 광산은 전시 기간 중 최대 1200여 명의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으나 실태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히로세 데이조 일본 후쿠오카대 명예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사도 광산의 조선인은 대부분 위험성이 높은 갱내 작업에 종사했으며 일본인이 갱내 작업에 종사한 비율은 낮았다.

하지만 일본이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후보로 추천할 경우 이런 역사를 제대로 기재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니가타현과 사도시가 문화청에 제출한 추천서 요약본을 보면 대상 기간을 ‘센고쿠 시대(1467∼1590년) 말부터 에도시대(1603∼1867년)’로 한정해전통적 수공업에 의한 금 광산 유적군이라고 소개했다.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 등 일제 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 강제 노역의 실태를 알리겠다고 약속했으나 이행하지 않고 있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일부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