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미문 팬데믹 속 ‘시대의 신음·위중한 마음’ 드러내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22 부산일보 신춘문예 경향

2022 신춘문예는 우리가 전대미문의 시대 속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반영했다. 우리를 무겁게 짓누르는 초유의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우리 삶의 돌파구, 우리 마음의 하소연을 글쓰기를 통해 쏟아냈다. 모두 6개 부문에 걸쳐 1410명이 총 3718편을 응모했는데 이는 지난해(943명 2551편)보다 50%가량 늘어난 수치였다. 코로나 때문에 응모 편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였다. 응모작들은 거의 전 장르에 걸쳐 코로나19 속에 갇힌 우리의 위중한 마음 상태를 표현하고 있었다. 시대의 신음이랄까. 힘겨운 시대의 내면을 호소하는 분투하는 글쓰기로 저 너머의 희망을 붙잡고 싶어 한다는 것을 읽을 수 있었다는 거다. 작품 경향에서 희곡 시조 동화는 작품 수준이 높았다는 평이었다.

6개 부문 1410명 3718편 응모
지난해보다 50% 정도 늘어나
‘코로나에 갇힌 삶’ 글로 녹여 내
희곡·시조·동화 작품 수준 높아
소설은 더 치열한 글쓰기 고민을

단편소설(233명 237편) 예심 심사위원들(소설가 나여경 이정임 배길남)은 “지금 시대를 드러내듯 유난히 자살 이야기가 많았는데 내 인생이 망가졌다거나, 아예 처음부터 ‘나 오늘 죽어야겠다’라고 시작하는 작품도 있었다”고 했다. 작품들은 노년·청년층의 대립, SF 판타지, 70대의 살아온 이야기, 단절 속에서 상처 받은 이야기 등 다양했는데 본심 심사위원(소설가 정찬, 평론가 황국명)은 “문장의 절차탁마로 글의 내공이 느껴져야 하고, 소설에서 굉장히 중요한 ‘이야기의 입체성’이 살아있어야 한다”며 “좀 더 치열한 글쓰기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아쉬움을 피력했다. 단편소설은 지난해에 비해 편수는 100편 가까이 늘었으나 좋은 작품은 별로 많지 않다고 했다.

시(506명 1903편) 심사위원(시인 전동균 유홍준)은 “코로나 시대에 내면의 상처를 담은 시들이 많고, 시대의 불투명성을 반영하듯 산문시가 많았다”며 “하지만 시적인 상상력의 변주가 아쉬웠다”고 했다. 시 부문도 지난해에 견줘 편수는 800편이나 늘었으나 수준은 비슷했다는 평이었다. 최종심에 오른 한 편은 여러 신문사에 중복투고했다는 사실이 확인돼 심사에서 제외됐다. 시 부문은 지난해에 비해 160여 명 800편이 증가했다.

111명이 116편을 응모한 희곡·시나리오 부문은 “수준 높은 작품이 많았다”는 총평이었다. 심사위원(평론가 김남석)은 “현시대의 고통을 드러내듯 그로테스크한 부조리극 성향의 작품들이 많았다”며 “요양원 감옥 등 수감된 장소가 많이 나왔고, 다양한 양상의 폭력을 다룬 작품도 다수였다”고 했다. 희곡(82명 86평)·시나리오(29명 30편) 부문은 지난해에 비해 작품 수가 2배 더 늘었다.

시조(123명 472편) 심사위원(시조시인 이우걸)은 “정보화 및 팬데믹 시대의 그늘을 그린 작품이 많았다”며 “전반적으로 예년에 비해 작품 수준이 높았으며, 소재와 주제의 다양성이 두드러지고 형식미달 작품은 거의 없었다”고 했다.

아동문학 부문도 지난해보다 응모 편수가 늘었다. 특히 동화(212명 216편)는 지난해보다 2배 가까이 늘었고 동시(197명 745편)는 소폭(40명 120편) 늘었다. 동시 심사위원(동시인 구옥순)은 “동시라고 쉽게 보는 작품들이 많았다”며 “오래 손에 두고 익힌 작품이 적었다”고 아쉬움을 말했다. 동화 심사위원(동화작가 안덕자)은 “문장이 탄탄한 작품이 많았고, 역시 코로나 시대여서 그런지 ‘죽음’을 바탕에 깐 작품들이 많았다”고 했다. 할아버지 할머니의 죽음, 엄마의 교통사고 사망, 반려견의 죽음 등 죽음의 양상은 다양했다고 한다. 아동문학 부문에서는 올해도 동화에서 당선작이 나왔다.

평론(28명 29편) 심사위원(평론가 구모룡)은 “이론과 분석이 뜨는 경우가 있었고, 주관적 서술이 눈에 많이 띄었다”며 “신인답게 글을 유기적으로 정성껏 썼으면 좋겠다”는 총평을 냈다. 영화평론의 경우 감독론보다는 작품 위주여야 하며, 텍스트 분석과 영화적인 것이 균형감을 갖추고 맞물려야 한다는 평이 나왔다. 문학평론의 경우 분석 해석이 부족해 아쉬웠고, 주관적 비평이 많았다는 평이 나왔다. 기타(1명 1편)와 문학평론(5명 5편)보다 영화평론(22명 23편)이 훨씬 많았다. 당선자에게는 개별 통보를 마쳤고, 당선작은 내년 1월 3일 자 지면에 게재한다.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