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흩어지면 산다” 고밀도 개발보다 완충 녹지 조성이 대안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코로나19 국내 발생 2년] 팬데믹 시대 도시계획 방안

선형공원인 부산 해운대구 ‘그린레일웨이’(왼쪽)와 서울 ‘경의선숲길’. 부산일보DB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도시 계획을 전염병 감염 위험을 낮추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전염병 확산을 부추기는 기존의 고밀·복합개발을 지양하고, 도심 곳곳에 녹지를 조성해 전염병의 완충지대로 삼는 방식이 강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국토연구원의 이진희 부연구위원 등이 펴낸 ‘감염병 대응을 위한 공간정책 과제’에 따르면, 코로나19와 같이 사람간 접촉이나 공기 중 비말을 통한 감염병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집단감염 발생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인구 1000만 명에 육박하는 서울의 감염병 발생과 밀접한 시설들은 일부 지역에 밀집돼 있었다.

전염병 대응하는 도시공원 형태
길고 폭 좁은 ‘선형공원’ 적합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대표 사례

도시계획 요소와 지역 특성에 따라 감염병 전파 방식 가능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시설별 이용 패턴을 고려해 사람 사이 접촉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보고서는 디자인 변화를 통한 감염병 대응이 경제 타격을 최소화하며 접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했다.

기존의 고밀·복합개발 정책을 재고해 이용자 수요뿐만 아니라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밀도를 계획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효율적 공간이용과 이용 편의성을 목표로한 ‘압축도시’는 자칫 밀집도를 끌어올려 감염병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중심형 개발’은 대중교통이 감염병 전이의 주요 요소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특정 시간대 대중교통 이용자가 몰려 사람간 접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밖에도 도시 내에 존재하는 빈곤과 열학한 주거 환경, 제한된 의료기능 등 지역간 격차를 완화하는 것도 감염병 대응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고밀 지역에서는 전염병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녹지 등 완충지대를 적절히 배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도심 공원의 경우 사각형 공원보다는 길고 폭이 좁은 ‘선형공원’이 전염병 대응에 좋다. 선형공원에서는 일정 거리 단위로 끊어서 이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형공원의 대표적인 사례는 서울의 ‘경의선숲길’이다. 버려진 철길을 공원으로 가꾼 경의선숲길은 서울 마포구에서 용산구까지 6.3㎞에 이른다. 부산에선 2016년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 주변에 완공된 해운대의 ‘그린레일웨이’를 선형공원의 사례로 들 수 있다.

싸이트플래닝 건축사사무소 한영숙 대표는 “사람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아도 선형공원에서 연결된 다양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공원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공원의 형태다”면서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보건소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해졌는데, 보건소 등 공공의료를 중심으로 도시 계획을 세울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황석하 기자 hsh03@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