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 도발적 질문의 내막은…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영도문화도시센터 ‘프로젝트 영도’
공공미술 공론장 개최 전 현수막 퍼포먼스
주민 항의에 철거, SNS 논쟁도 불러
19일 북토크·공론장서 공공성 고민 나눠

공공미술에 대한 공론장을 만든 '프로젝트 영도' 팀이 영도구 대평동 아파트에 그려진 벽화 옆에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 현수막을 걸었다가 주민들의 반발로 현수막을 철거했다. 영도문화도시센터 제공 공공미술에 대한 공론장을 만든 '프로젝트 영도' 팀이 영도구 대평동 아파트에 그려진 벽화 옆에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 현수막을 걸었다가 주민들의 반발로 현수막을 철거했다. 영도문화도시센터 제공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

지난주 깡깡이예술마을을 비롯해 부산 영도구 여러 곳에 현수막이 내걸렸다. ‘깡깡이 아지매’를 모델로 한 벽화 옆, 깡깡이생활문화센터 벽화 위에 걸린 ‘도발적인 문구’의 현수막은 논란을 불렀다. 실제로 벽화를 지운다는 뜻으로 받아들인 주민들의 항의에 일부 현수막은 철거됐다. 작가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도 없는 무례한 일이라는 반발, 작업을 한 작가나 기획자에게 사전에 연락은 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는 영도문화도시센터가 기획한 ‘프로젝트 영도’의 공론장 사전 퍼포먼스이다. 공공미술에 관해 토론하는 공론장을 진행하기에 앞서 참여 작가들의 선언과 질문이 담긴 공공미술 선언문을 7개 장소에 현수막 형태로 내걸었고 주민 반발에 두 곳은 철거했다. SNS를 달군 퍼포먼스로 19일 영도구 봉래동 블루포트2021에서 열린 공론장에는 각지에서 온 예술가, 기획자, 비평가 등이 참여했다. 현장에 오지 못한 사람들은 온라인 중계로 지켜봤다.

공론장에 앞서 작가들의 공공미술 선언문을 담은 아트북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 북토크가 열렸다. 아트북은 프로젝트 영도팀 작가들이 영도를 직접 돌아보고, 여러 분야 연구자를 초청해 공공미술을 공부하고 논의한 결과물이다.

작가들은 책에서 한국 공공미술의 문제점을 보여줬다. 공공기관의 직무 유기에 가담하는 도구로 전락한 공공미술, 도시에 시각적 소음이나 마찰을 증폭시키는 공공미술, 공공미술이 젠트리피케이션 문제에 얽히는 현상 등을 지적했다. 공무원·시행사 등으로 구성된 공공미술 대표단의 의견이 반영된 시안을 그리는 ‘을’로 전락한 작가의 현실도 언급됐다.

북토크에서 이명훈 예술공간 돈키호테 기획연구팀장은 “시간적 제약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조급하게 추진되는 과정이라든지, 주민 참여가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하며 “문화뉴딜 사업으로 진행된 우리동네 미술 프로젝트도 큰 예산이 지원되고 많은 작가가 참여했는데 아쉬움이 많이 남는 사업이 되어버렸다”고 말했다.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라는 제목으로 공공미술의 공공성에 대한 공론의 장이 열렸다. 프로젝트 영도와 영도문화도시센터는 19일 부산 영도구 봉래동 블루포트2021에서 북토크와 공론장 행사를 가졌다. 오금아 기자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라는 제목으로 공공미술의 공공성에 대한 공론의 장이 열렸다. 프로젝트 영도와 영도문화도시센터는 19일 부산 영도구 봉래동 블루포트2021에서 북토크와 공론장 행사를 가졌다. 오금아 기자

공론장에서 작가들은 만약 벽화를 지우게 된다면 어떤 논의가 전개될 수 있을까를 가상으로 구성해서 보여줬다. 구청·시청 담당자, 주민 대표, 문화해설사, 공공미술 작가와 기획자들에 이어 인플루언서와 부동산 업자까지 가세한 대화에서는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사라진 공공미술의 현실이 드러났다.

프로젝트 영도팀이 ‘벽화’를 앞세운 이유는 벽화가 공공미술 사업의 대표적 테마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너무 많은 벽화는 사람이 살고 있는 마을을 ‘테마파크’처럼 만들어 버린다. 공론장에 참여한 한 시민도 그런 점을 지적했다. 안소현 기획자는 “다른 작가의 작품 위에 무례하고 거칠게 현수막을 걸었느냐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벽화가 그려지기 전 수십 년을 살아온 사람들의 공간을 벽화를 덮을 때 그건 왜 무례하다 생각하지 않았는지를 묻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벽화를 지워도 되겠습니까?’는 작가들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기도 하다. 김월식 작가는 프로젝트 영도팀의 이번 퍼포먼스에 대해 “자신만의 윤리성에 갇힌 공공미술에 대한 질문으로 봤다”며 “일방적이지 않았는지, 더디지만 절차를 갖췄는지 등을 질문하며 (공론화를 통해) 공공함에 다가가는 과정인 것 같다”고 말했다.

작가들은 공공미술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다른 분야의 공공성에 대한 생각도 환기시키기를 희망했다. 김경화 작가는 “북항에 건물이 올라가면서 산복도로 조망을 가리는 것도 공공성 파괴 행위라고 생각한다”며 “작가들의 이런 선언이 건축에서도 일어나고, 공공성에 대한 고민거리를 곳곳에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프로젝트 매니저인 서평주 작가는 “이번 프로젝트는 ‘조형물은 만들지 않는다’는 문장에서 시작했다”며 “벽화 등 조형물이 도시를 10년 20년 점유하는 형식이 아니라, 잠시 걸고 우리의 이야기를 전하고 (도시 공간을) 언제든지 공공의 영역으로 다시 돌려드리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고 했다.

고윤정 영도문화도시센터 센터장은 “누군가를 비판하기 위한 자리는 아니며, 추진 과정에서 발생한 오해는 센터의 책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고 센터장은 앞으로 “예술가의 윤리적 기준, 중간조직의 프로세스, 공공미술의 새로운 방식에 대한 고민을 나눌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다른 도시에서도 이런 논의를 이어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