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T 기업들, 온실가스 배출량 ‘넷제로’ 잇단 선언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달성 시점 20~30년 이후로 제시
실제보다 과장된 홍보 효과 노려

국가기술표준원의 넷제로 설명 자료. 국가가술표준원 제공 국가기술표준원의 넷제로 설명 자료. 국가가술표준원 제공

IT 업계가 ‘넷제로’(Net-ZERO) 선언 경쟁에 나섰다. 넷제로 선언은 기업활동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순배출량’이 제로(0)가 되도록 만들겠다는 약속다. 국내 IT 업계는 넷제로 달성 시점을 20~30년 이후로 제시했다. ‘친환경 기업’이라는 ‘홍보’가 ‘성과’에 비해 20년이나 빠른 셈이다. 이 때문에 넷제로가 ‘그린워싱’(실제보다 과장된 친환경 사업 홍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내 IT 기업들은 대체로 2040년 혹은 2050년을 넷제로 달성 시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IT 공룡’ 네이버와 카카오는 넷제로 달성을 나란히 2040년으로 제시한 상태다. SK텔레콤과 KT는 이보다 10년 늦은 2050년에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LG유플러스는 구체적인 넷제로 일정을 밝히지 않았다.


국내 IT 기업들이 ‘친환경’을 외치며 발표한 넷제로 달성 시점은 어느 정도 빠른 걸까. 해외 유명 IT 기업들과 비교해 보면 10~20년 정도 늦다. 구글과 애플은 넷제로 달성 시점을 나란히 2030년으로 발표했다. 미국 통신사인 AT&T와 버라이즌은 2035년에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넷제로에서 한 발 더 나가 ‘탄소 네거티브’ 목표까지 제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3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한 이후 온실가스 감축을 계속해 2050년에는 회사 설립(1975년) 이후 사업활동으로 배출한 모든 온실가스를 제거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국내 IT 기업들의 넷제로 달성 시점은 온실가스 대량 방출 업종인 석유, 화학업종과 비슷한 수준이다. 정유회사인 에쓰오일과 화학기업인 LG화학은 SK텔레콤이나 KT와 같은 2050년에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철강기업인 포스코도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이처럼 넷제로 달성 시점을 상대적으로 늦게 설정한 국내 IT 대기업의 온실가스 방출량은 얼마나 될까.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대부분 화석연료(경유, 휘발유, LNG 등) 사용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Scope1)와 기업이 사용하는 전기, 열, 스팀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Scope2)를 합산해 산출한다.

각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은 네이버가 7만9907이산화탄소환산톤(tCO2eq), 카카오가 7만 7130tCO2eq이다. 통신 3사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이보다 훨씬 많다. 2020년 기준으로 SK텔레콤이 103만9979tCO2eq, KT가 122만1718tCO2eq, LG유플러스가 128만 4497tCO2eq을 기록했다. 통신 3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한국전력공사(104만 3445tCO2eq)보다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 같은 온실가스 배출량 발표에 대해선 실제 방출량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협력사, 소비자, 직원(출퇴근, 출장)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가 배출하는 온실가스(Scope3)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어서다. 지난해에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는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들이 Scope3 배출량을 비롯한 온실 가스 배출량을 실제보다 적게 보고하고 있다는 연구논문이 실리기도 했다.

기업의 넷제로 경쟁에 대해선 홍보에만 활용하고 제대로 실천하지 않는 그린워싱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기업이나 펀드의 ‘ESG 실적’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 금융당국도 지난해 ESG 공시에 대한 단계적 의무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업의 ESG 정보를 어떻게 검증할지에 대해선 아직 논란만 거세다. 기업들은 ‘경영 부담’을 앞세워 ESG 제3자 검증에 소극적이다. 일부 ‘친기업’ 성향의 언론도 정부가 ESG 정보 공개와 검증에 대한 규제를 만드는 데 대해 비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