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공기업들, 부산 옮긴 후 영업실적 훨씬 좋아졌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4개 기관 매출액 등 현황 자료

주금공 매출액 174% 증가
예탁결제원도 2.8배나 급증
산은 이전 경쟁력 저하 운운
근거 없는 정치 공세 입증
이전 통한 균형발전 서둘러야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전경. 부산일보DB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전경. 부산일보DB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 공기업 4곳의 영업실적이 본사를 옮긴 뒤 월등히 개선된 것으로 6일 확인됐다. KDB산업은행 등 금융 공기업 지방 이전을 반대하는 일부 정치권 인사와 세력들이 본사 이전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를 주장하고 있지만 실상은 다르다는 게 드러난 것이다.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수도권 외에 또 다른 성장 축이 절실한 상황에 사실 관계와 다른 무분별한 정치 공세는 옳지 못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재호(부산 남을) 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등 2014년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 공기업 4곳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 매출액, 당기순이익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 모두 2012년 대비 지난해 매출액은 크게 증가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2012년 매출은 2조 3234억 원이었으나 지난해에는 4조 442억 원을 기록했다. 10년 만에 174% 늘어난 것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매출액 증가세는 2014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이어졌다. 한국주택금융공사 매출은 2013년에 2조 6404억 원에 이어 2014년에는 2조 4963억 원으로 잠시 주춤한 뒤 △2015년 2조 6244억 원 △2016년 2조 8817억 원 △2017년 3조 3235억 원 △2018년 3조 5381억 원 △2019년 3조 7829억 원 △2020년 4조 195억 원 등 오름세를 보였다.

한국예탁결제원의 경우 2012년 매출액이 1289억 원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82배에 달하는 3638억 원을 달성했다. 한국예탁결제원도 2019년 한 해를 제외하고는 매출액이 매년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한국자산관리공사 또한 2015년과 2020년 매출액이 일시적으로 하락한 것 외에는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다. 2012년 4214억 원에 불과했던 매출액은 2021년 6986억 원을 기록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2012년 6388억 원에서 2021년 8798억 원으로 다른 기업들에 비해 매출액 증가 폭이 작았지만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859억 원에서 3620억 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같은 사실에도 올 1월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KDB산업은행 부산 이전 공약을 깜짝 공개한 이후 수도권 정치권 인사를 비롯, 금융계에서는 금융 공기업 지방 이전은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행위라며 근거 없는 비난을 계속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산업은행이 사실상 부산 이전의 첫발 격인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 영업조직 확대를 골자로 한 조직개편에 나서는 등 본사 이전에 본적으로 박차를 가하면서 “금융 공기업의 지방 이전은 실리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등 왜곡된 정보를 조직적으로 유포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다만 부산으로 본사를 옮긴 4곳의 금융 공기업은 전국 부동산이나 주식 시장의 가격 변동과 밀접하게 관련된 까닭에 이들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만으로 지방 이전 영향력을 분석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부동산, 주식 호황기에 따른 ‘착시 효과’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 또한 본사 위치가 매출 등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주장이다.

특히 부산의 경우 국토연구원 조사에서 지방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의 거주 만족도 측면에서 타 지역과 달리 월등히 높아 주거 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 영향력도 적다는 게 입증되기도 했다. 2020년 국토연구원이 발간한 ‘혁신도시 15년의 성과 평가와 미래발전 전략’ 보고서에서 부산은 전국의 10개 혁신 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계획 인구 대비 정주율을 초과 달성했으며, 가족 정주율 또한 제주에 이은 전국 2위를 기록한 바 있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대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정보로 국가 백년대계를 막아서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