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저성장 터널’ 갇힌 부산 경제, 출구 누가 마련하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기업 지역 유입보다 유출 많아 충격
부산시, 산업구조 개편 활로 모색을

지난 9월 22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2 부산창업박람회’를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지난 9월 22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2 부산창업박람회’를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부산 경제의 참담한 현실을 보여 주는 통계가 며칠 새 잇따르고 있다. 가장 충격적인 통계는 2018~2020년 부산 기업의 전출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부산을 나간 기업이 들어온 기업보다 더 많았다는 것이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 보고서에 따르면 2018~2020년 부산을 나간 기업은 1677개로 부산으로 들어온 기업 1592개보다 많았다. 게다가 제조업 이탈에 상응할 만한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은 지역에 유입되지 않고 있었다. 부산에서 유출된 기업이 대부분 수도권으로 간다는 선입관과는 달리 가장 많이 이전한 곳이 경남·경기·서울·울산 순이라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컸다.


부산시는 부산창업청을 추진하고 아시아창업엑스포를 여는 등 창업 활성화를 위해 매진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 같은 통계를 고려하면 창업 활성화에 앞서 부산에 있는 기업이 부산을 떠나지 않고 잘 뿌리내리도록 돕는 정책적 지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상공회의소가 최근 발표한 부산의 10월 신설법인 동향 조사 결과도 이에 부합한다. 10월 중 부산에 신설된 법인은 372개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던 4월 622개에 비해 40.2%나 급감했다. 부산의 법인 신설 추세는 4월 이후 6개월째 연속 감소세를 이어 오고 있다고 한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의 ‘3고 현상’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부산의 성장 동력이 눈에 띄게 약화되는 중이다. 없는 걸 새로 만드는 것도 필요하지만 있는 것부터 잘 지켜야 한다.

부산 경제가 고질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은 청년층의 이탈에서 잘 드러난다. 공무원 시험 학원과 저렴한 고시원 등이 밀집된 서울 관악구는 수도권 시·군·구 가운데 비수도권 청년인구(20~30대)의 유입이 가장 많은 지역이라고 한다. 동남권은 역외지역 가운데 최근 10년간(2012~2021년) 관악구(2만 명)로의 순유출이 가장 많았다. 그중에서도 부산은 같은 기간 무려 8866명이 빠져나간 최대 순유출 지역이었다. 지역의 청년은 ‘살인적인 서울 집값’을 원망하면서도 기업체와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갈 수밖에 없다고 호소한다. 이처럼 생산가능 인구가 지속해서 줄어들면 지역의 성장 동력 약화는 심화되기 마련이다.

부산을 비롯한 동남권의 내년 성장률이 전국의 1.7%보다 낮은 1.6%로 부진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동남권이 올해에 이어 2년 연속 1%대 성장에 그치면서 지역경제 활력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 경제는 한마디로 내년에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3고 현상'이 내년에는 완화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물론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 아무튼 부산시는 부산 경제가 ‘저성장 터널’에 갇힌 책임에 대해 통감해야 한다. 부산시는 지금이라도 심기일전해 부산의 산업구조 개편과 창업 활성화라는 투트랙 전략으로 반드시 지역경제의 출구를 마련해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