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먹는 물 예산’ 희비 장기-‘맑음’, 단기-‘흐림’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낙동강 물 공급체계 구축은 증액
심층 취수탑은 기재부 반대 봉착

경남 김해 매리취수장 인근의 낙동강 모습. 부산일보DB 경남 김해 매리취수장 인근의 낙동강 모습. 부산일보DB

부산시의 최우선 국비 확보 사업인 ‘먹는 물 예산’을 두고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부산시에 공급하는 상수도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장기 과제인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 사업은 예산 증액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반면 당장 안전한 먹는 물 확보를 위한 단기 핵심 사업으로 꼽히는 ‘심층 취수탑’ 예산 증액은 기획재정부 반대에 직면했다. 심층 취수탑은 식수에 조류 유입의 근본적 해결책으로, 수면 아래 8m 지점에서 맑은 물을 끌어 올리는 사업이다.


특히 부산시가 이번에 심층 취수탑 사업 설계 용역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 본 사업 성격인 580억 원(국비 290억 원) 규모의 취수탑 설치 예산 역시 안갯속으로 빠질 우려가 크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으로 부산시가 10억 원 증액을 요청한 ‘낙동강 조류 유입 대응 취수탑 설치’ 사업 설계 예산에 대해 기재부가 반대 입장을 확고히 했다. 지자체 예산 사업인 ‘지방이양사업’이라는 이유로 우선 선을 그은 것이다. 취수탑 기본·실시설계 용역 예산은 총 20억 원으로 이 중 10억 원을 국비 조달한다는 게 당초 부산시 계획이다.

부산시는 추후 580억 원으로 추산되는 취수탑 설치 예산에 대해서도 절반 규모인 290억 원을 국비로 충당하겠다는 방침을 세워 놓았다. 그러나 취수탑 설계 예산 국비 확보부터 불발되면 향후 설치 예산 국비 투입도 명분상 놓칠 공산이 크다.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부산 남을)이 주력해 온 심층 취수탑 설치는 이르면 2024년 이뤄질 수 있어 부산시 안전한 먹는 물 확보의 단기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취수탑은 매리취수장과 물금취수장에 각각 설치돼 낙동강 본류 수심 8m 이하에서 조류 독성물질을 피해 안전하게 선택적 취수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8년에야 가능한 취수원 다변화에 앞서 보다 이른 시일 내에 안전한 식수 확보가 가능해진다는 의미이다.

장기적 과제인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여당이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어 기재부가 예산 증액을 수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반면 시급한 단기 해결책으로 꼽히는 심층 취수탑 사업은 기재부의 재정 원칙 아래에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부산 시민의 먹는 물 문제보다 급한 문제는 없다. 국가가 나서야 함에도 재정 원칙론만 거론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