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물 건강영향조사, 더는 미루어선 안 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암 사망 1위와 물 영향 규명 필요
신속·철저한 조사로 시민 불안 없애야

부산시가 낙동강 물이 시민들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한 건강영향조사를 환경부에 제안했다. 사진은 8월 경남 양산 물금취수장에서 녹조 등 조류 유입을 막기 위해 살수시설이 가동되고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부산시가 낙동강 물이 시민들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한 건강영향조사를 환경부에 제안했다. 사진은 8월 경남 양산 물금취수장에서 녹조 등 조류 유입을 막기 위해 살수시설이 가동되고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부산시가 낙동강 하류의 물이 부산·경남 주민들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달라며 환경부에 건강영향조사를 제안했다. 건강영향조사는 환경 오염에 취약한 지역에서 환경 유해 인자가 주민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 환경부는 전국 대기질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먹는 물에 대해서는 시행한 적이 없다. 그러나 낙동강 수질이 날로 악화되고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시가 환경부에 공식 제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동안 낙동강 원수의 수질 악화가 부산 시민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온 것을 감안하면 진작에 시작했어야 할 조사다.

시는 낙동강과 4대강의 다른 지역을 비교해 분석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낙동강 수계 2~3곳을 표본조사군으로 정하고 한강과 금강, 영산강 수계 1~2곳을 대조비교군으로 두는 방식이다. 우선 미량 유해 물질이나 소독 부산물 등 조사 대상 환경 유해 인자를 선정한 후 해당 수계를 식수로 사용하는 주민들을 표본으로 정해 건강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하자는 것이다. 구체적 방식은 환경부 지정 전문기관인 환경보건센터에서 시와 의논해 정하자고 했다. 시는 제안서에 부산 시민의 건강 지표와 낙동강 수질 현황 자료도 함께 제출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표본 인구 10만 명당 암 사망자 수는 92.3명으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역대급 수질 악화를 겪으면서 건강영향조사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더 높아졌다. 낙동강 녹조 창궐로 부산 시민의 식수원인 물금지역에 196일이라는 역대 최장의 조류 경보가 이어졌다. 여름철에는 56일 동안 해당 지역 수질이 4~6등급을 기록했다. 고도정수처리를 해도 공업용수로나 사용할 수 있는 물을 부산 시민들이 식수로 마셨다는 이야기다. 환경단체 조사 결과 대구와 경남 일부 수돗물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기도 했고 다대포해수욕장에서는 신경변성 독소인 BAMM이 검출됐다. 수질 악화로 인한 고도정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트리할로메탄(THM)도 대표적 발암 물질이다.

환경부는 건강영향조사 가능 여부를 검토한 후 결정한다는 입장이지만 부산 시민들의 식수에 대한 불안감을 감안하면 신속하고 철저하게 진행해야 할 일이다. 그동안 정수 처리된 수돗물의 먹는 물 기준만으로 식수가 안전하다고 반복하며 부산 시민들의 우려를 묵살해 온 환경부다. 시가 건강영향조사를 제안한 마당에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또 예산이 들어도 조사 대상 유해 물질 항목과 인원을 최대한 반영해 철저하게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부산 시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 아닌가. 수박 겉핥기식 조사로는 시민들의 불신만 더 가중시킬 뿐이다. 시민들의 불안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취수원 다변화도 하루속히 매듭지어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