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표 줄어 PK ‘1당 독식’ 사라진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중선거구 도입 지선 결과 의석 균형 뚜렷
부산 6개 울산 2개 선거구로 조정 가능성

부산시 선거관리위원회 전경 부산시 선거관리위원회 전경

정치권 일각에서 논의되는 중대선거구제가 실제로 도입되면 22대 부산·울산·경남(PK) 총선 구도도 급변한다. 전통적으로 ‘보수 텃밭’으로 불리는 PK에서도 진보 성향 당선인이 상당수 나올 것으로 보이며,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 신인이나 초선 의원들은 다소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도·농복합형 선거구제가 실현될 경우 부산과 울산은 중대선거구제로 총선이 실시되고, 경남에선 중대선거구와 소선구제가 혼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40석의 PK 의석이 유지된다는 것을 전제로 부산은 크게 6개 정도의 선거구로 재편되고 울산은 2개 정도로 줄어든다. 경남은 상황이 복잡하다.


우선 부산은 지방자치단체의 인구와 근접성 등 여려 여건을 감안할 때 북·강서·사상구, 사하·중·영도·서구, 남·수영구, 동래·금정·연제구, 부산진·동구, 해운대구·기장군 등 약 6개의 선거구로 바뀌고 지역구별로 3명씩 선출할 가능성이 있다. 지금은 전체 18개 선거구에서 1명씩 뽑는다.

울산은 현재의 6개 선거구에서 2개로 줄어들어 남구와 울주가 묶이고, 중·동·북구가 단일 선거구로 바뀔 수 있다.

경남은 창원권 전체에서 한꺼번에 5명을 뽑거나 창원특례시로 바뀌기 이전처럼 구 창원에서 2명을 뽑고, 마산과 진해를 합쳐 3명을 선출할 수도 있다. 김해와 양산은 지금처럼 각 지역에서 2명을 선출하거나 두 도시를 묶어 4명을 뽑을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중대선거구제가 도입되면 PK에서 ‘1당 독식’ 구도가 어려워지는 등 부울경의 정치지형이 급변할 전망이다. 올해 6월 지방선거 결과가 이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소선거구제로 실시된 부산시의원 선거에선 전체 42명의 지역구 시의원 중 42명이 국민의힘 소속이고 민주당은 단 1명도 없었다. 하지만 중선거구제로 실시된 기초의원 선거에선 전체 157명의 부산 기초의원 가운데 88명이 국민의힘 소속이었지만 민주당(68명)과 무소속(1명)도 선전했다. 보수 성향이 강한 부산 중구의원 선거에서도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똑같이 3명씩 당선돼 여야의 의석이 균형을 이뤘다.

문제는 중대선거구제가 인지도가 낮은 청년·여성 등 ‘정치적 약자’와 초선 의원들의 국회 진입을 가로막고, 퇴출대상으로 지목된 중진들에게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비윤(비윤석열)계 PK 중진들이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하는 이유다. 이와 달리 PK 현역들을 대폭 교체하고 정부와 대통령실에 재직 중인 신인들을 대거 투입하려는 친윤계는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