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취수원 수질 개선” 부산시 여론 호도 발표 ‘뭇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물금·매리’ 일부 수치만 부각
환경단체 “눈 가리고 아웅” 비판

경남 김해 매리취수장 인근의 낙동강 모습. 정종회 기자 jjh@ 경남 김해 매리취수장 인근의 낙동강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시가 ‘4대강 사업’으로 먹는 물 수질이 개선됐다는 자료를 발표해 빈축을 샀다. 수질이 악화된 지표는 제시하지 않고, 마치 수질이 개선된 것처럼 홍보해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9일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부산의 주요 취수원인 낙동강 물금·매리 일대 수질이 낙동강 8개 보 건설 이전보다 대폭 개선됐다고 발표했다. 시는 2001년~2009년 자료와 2013년~2021년 자료를 비교 분석해 근거를 제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수질 오염 정도를 알 수 있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조류농도(클로로필a) △영양염류(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총인) 등 9개 항목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생물 관련 항목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은 증가했다.


시는 9개 항목이 개선된 이유에 대해 ‘4대강 사업의 긍정적 효과’라 분석했다. 4대강 사업으로 창녕함안보 등 8개 보가 생기면서 상·중류의 체류 시간이 늘어나 자정작용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또 강변에 있던 농지 등 비점오염원을 제거·정리하고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을 설치하면서 수질이 개선됐다는 것이 시의 분석이다. 보 건설 이전보다 악화된 2개 항목에 대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증가 등이 원인이라 분석했다.

문제는 시가 악화된 수치인 ‘화학적 산소요구량(COD)’과 ‘총유기탄소(TOC)’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실제 부산시가 2019년 발표한 ‘낙동강(물금) 수질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2년 대비 2017년 COD 농도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시는 수질 법정항목에 해당하는 항목만 비교 했다는 입장이다. 총유기탄소의 경우 법정항목으로 지정됐으나, 과거 데이터가 없어 비교가 어려웠다고 밝혔다.

설령 물금·매리 지역의 지표가 일부 개선됐다고 하더라도, 이를 ‘낙동강 수질 개선’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가톨릭대학교 환경공학과 김좌관 교수는 “수질이 개선된 것이 아니라 수질 환경이 변화한 것이라 해석해야 한다. 보 건설로 인해 중·상류의 녹조 피해가 심각해졌고, 하류 지역은 간 독성을 일으키는 마이크로시스틴 문제가 더 심각해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물금·매리 일대에 196일간 조류 경보가 발령된 만큼, 4대강 사업으로 인해 하류의 조류 문제가 개선됐다고 보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부산연구원 백경훈 연구위원은 “과거에 비해 수치가 일부 개선됐다고 하더라도 매리·물금의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점은 변함없다”고 짚었다.

부산시가 맑은 취수원을 확보하기 위해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여론을 호도할 수 있는 자료가 나온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할 당시 청와대 홍보기획관이었던 박형준 시장의 치적을 홍보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낙동강네트워크 강호열 공동대표는 “맑은 물 확보를 위해 노력하는 시점에 이 자료를 발표하는 것이 현 정부와 코드를 맞추려는 것으로 읽힌다”면서 “불리한 수치는 쏙 빼놓고 마치 수질이 좋아진 것 처럼 홍보하는 것은 여론을 호도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