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 위한 충전소 구축 ‘뜨거운 감자’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 수소 생태계 강력 드라이브
부산시, 올해 19기 구축 목표
폭발 사고 등 선입견 최대 걸림돌

대도하이젠이 부산 사상구 학장동에 설치해 운영 중인 도심형 CNG+수소 복합충전소. 부산일보DB 대도하이젠이 부산 사상구 학장동에 설치해 운영 중인 도심형 CNG+수소 복합충전소. 부산일보DB

수소충전소 건립을 둘러싸고 불거지는 잦은 갈등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수소 산업 생태계 확장 의지는 확고하다. 신재생에너지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면서 에너지 패러다임 역시 탄소 중심에서 수소 중심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0년 9000만t이었던 세계 수소 수요가 2030년 2억t, 2050년엔 5억 3000만t으로 늘어날 걸로 전망된다. 국내 수소 사용량도 꾸준히 증가해 이 추세라면 2030년 390만t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 입장에서는 국제 기준 수준의 탄소 중립이 임기 내에 처리해야 할 큰 숙제다. 지난해까지 수소 생태계 관련 로드맵을 발표한 나라는 총 30개국. 한국은 2036년까지 수소 발전 비중을 7.1%대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수소 생태계 확장에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해에는 청정수소 사용 인증제를 도입하고 인센티브를 보장한 이른바 ‘수소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자 전국 지자체와 대기업이 수소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군침을 흘리고 있다.

부산시가 지난해 지역 수소업체 34개 사를 끌어모아 부산수소동맹을 꾸린 것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부산수소동맹은 연구·개발(R&D) 협력과제를 발굴하는 것은 물론 시에 적극적인 정책 제안까지 하고 있다. 시는 수소동맹 회원사를 중심으로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친환경 선박 실증사업’ 등 3개 300억 원 규모의 실증사업을 수행 중이다. 추가로 선박용 CCUS 기술개발 등 협력 사업도 기획하고 있다.

울산은 국내 부생수소 생산량의 50%(연간 82만t)를 공급하는 국내 최대 수소 도시다. 울산은 이 같은 인프라를 활용해 수소충전소와 수소차 생산기지, 수소연료전지 실증센터 등 수소의 생산부터 유통, 활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달 세계 최초로 상업 생산한 ‘청정 암모니아’가 울산항에 입항한 것은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청정 암모니아’는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탄소 배출을 완전히 없앤 암모니아로 수소와 연동되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수소 생태계의 근간이 될 수소충전소 구축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시는 현재 3개소 5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했고, 올해 총 19기를 시내에 구축한다는 게 목표지만 사정은 만만치 않다.

사실 수소는 석유화학 시설 등 산업현장에서 수십 년째 사용해 온 에너지원이다. 이미 안전관리 노하우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다는 의미다. 한국산업안전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가스 중 종합적 위험도를 따지면 수소가 메탄이 주종인 도시가스보다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장 수소하면 ‘폭발’이나 ‘폭탄’부터 떠올리는 잘못된 선입견이 충전소 구축의 최대 걸림돌이다. 수소자동차나 수소충전소의 충전 용기에 문제가 발생하면 폭발하는 게 아니라 수소가 새어 나갈 뿐이라고 설명해도 현장에서는 이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