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STO 시장 선점 ‘더딘 걸음’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금융위, 19일 가이드라인 발표 전망
유통·발행 등 관련 제도 마련 논의
증권사들, 디지털자산 플랫폼 준비 분주
부산 거래소는 추진위 발족 이후 ‘답보’

금융위원회는 19일 6차 금융규제혁신회의를 열고 증권형 토큰(STO)의 유통, 발행과 관련해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연합뉴스 금융위원회는 19일 6차 금융규제혁신회의를 열고 증권형 토큰(STO)의 유통, 발행과 관련해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이번 주 증권형 토큰(STO) 가이드라인 발표를 위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맞춰 각 증권사들은 새로운 시장 선점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공공성을 앞세우며 업계 주목을 받았던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는 지난달 추진위를 발족한 이후 더딘 발걸음을 보이고 있다. 속도전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는 19일 서울 영등포에서 제6차 금융규제혁신회의를 갖는다. 이 자리에서는 증권형 토큰의 유통과 발행과 관련한 제도 마련에 대해 의견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회의 후 추가 검토를 거쳐 당초 예고했던 대로 이달 중 가이드라인을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회의 직후 공개될지는 미지수다.

부동산이나 음악 저작권 청구권 등 조각투자 등 인기에 증권형 토큰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아직 증권형 토큰의 범위나 증권성 판단은 모호한 상황이다. 이에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말 2023년 신년사를 통해서도 STO 관련 법제도 마련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금융 생태계를 완전히 바꾸고 있는 디지털금융과 관련된 금융회사들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겠다”며 “조각 투자·증권형 토큰 등 새로운 투자수단과 시장이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규율체계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자산은 크게 STO와 같은 증권형 자산과 기존 가상자산과 같은 비증권형 자산으로 나뉜다. STO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과 달리 주식처럼 실물 가치에 근거해 발행된다는 점에서 증권성을 갖춘 것으로 분류된다.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는 STO 등 증권형 자산은 자본시장법을, 비증권형 자산은 디지털자산법을 적용해 규율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번 가이드라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증권형 토큰이 거래되는 플랫폼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B증권은 STO 플랫폼 개발 작업과 시험을 마쳤다. 상반기 내에 플랫폼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신한투자증권도 연내 증권형 토큰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블록체인상에 기록된 증권형 토큰은 법적으로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신한투자증권은 별도로 (플랫폼 관련)기능 검증을 테스트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은 이달 초 리서치센터에 디지털자산리서치팀을 새롭게 꾸렸다. ‘영웅문’으로 대표되는 모바일트레이닝시스템(MTS)에서 증권형 토큰 거래가 가능해지면 더 많은 투자자가 유입될 것으로 기대하고 디지털자산 플랫폼 구축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한국거래소 역시 STO 거래를 담당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거래소 손병두 이사장은 최근 열린 부산 지역 기자단 간담회에서 “올해 증권형 토큰을 상장하고 거래하는 디지털증권시장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증권형 토큰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새로운 본부를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부산에 본부를 설치할 계획이라는 구체적인 구상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처럼 금융 당국이 증권형 토큰을 기존 금융권에 포함시키기 위한 제도 마련에 속도를 내고, 기존 증권사들도 조기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달 19일 정책 전문가인 김상민 전 국회의원을 위원장으로하는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발족시켰지만 이후 이렇다 할 진척은 없는 상황이다.

증권형 토큰을 기존 제도권 금융이 취급하게 될 경우 STO 거래를 주요 기능으로 구상했던 디지털자산거래소의 기능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오는 만큼 더욱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분출한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현 상황대로면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는 STO 매매 등 주요 기능을 다른 곳에 내주는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며 “금융중심지라는 부산 지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줄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부산시 관계자는 “금융 당국 지침에 맞춰 세부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시가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자산거래소는 STO를 대표 상품으로 구상하고 있다. 부산시는 디지털자산거래소를 증권형 자산거래소와 비증권형 자산거래소, 이원 구조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부산은 블록체인 특구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STO 거래 플랫폼이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규제 특례를 얻어 진행 중인 부동산 조각투자 사업 ‘비브릭’이 대표적이다. 부산시는 이러한 특구 사업의 노하우를 살려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를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