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 ‘해수 공급 관로’ 2년째 누수… 부산시 ‘땜질 처방’ 급급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10년 설치한 5만t 1차 관로
3곳서 육안으로 누수 발생 추정
2년간 광무교 일대 해수 끊겨
부산시, 정확한 원인 파악 못 한 채
1·2차 관로 연결공사만 진행
“찔끔공사로 수질 개선 요원” 지적

부산 동천 해수도수사업이 공급 관로 누수로 2년째 반쪽 운영되고 있다. 동천 공급 관로 공사 현장(위)과 동천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 동천 해수도수사업이 공급 관로 누수로 2년째 반쪽 운영되고 있다. 동천 공급 관로 공사 현장(위)과 동천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동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 바닷물을 끌어오는 해수도수사업의 공급 관로에 누수가 생겨 2년 동안 ‘반쪽 운영’된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시는 정확한 원인도 파악하지 못한 채 ‘땜질 처방’ 계획만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 5등급의 오염된 바닷물로 수질 개선사업(부산일보 2월 10일 자 1면 보도)을 한 것에 이어 또다시 허점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부산시에 따르면, 2021년 2월 동천 바닥에 설치된 5만t 해수도수 공급관로에서 누수가 발견됐다. 이 탓에 부산진구 부전동 광무교 인근에 3만t의 바닷물을 방류하는 해수도수 사업은 2년째 멈춘 상태다.

바닷물을 끌어와 수질을 개선한다는 동천 해수도수사업은 1·2차로 나뉘어 진행됐다. 2010년 완료된 1차 사업은 길이 2.8km의 관로를 깔아 총 5만t의 바닷물을 흘려보내는 사업이다. 광무교 일대에 벽을 타고 흐르는 ‘벽천폭포’ 형태로 3만t을 방류하고, 범3·4호교 일대에 우산 분수 형태로 각각 1만t을 방류해 총 5만t을 방류해 왔다. 사업비로는 64억 원이 투입됐다.

2010년 해수도수사업을 실시한 후 1~2년 동안 수질 개선 효과가 보이는 듯 했으나, 3~4년 후부터는 다시 수질이 악화했다. 시는 바닷물 방류량을 20만t 더 늘리는 2차 사업을 계획했다. 부산교통공사 앞 6만t, 범4호교 상류 7만t, 성서교 상류에 7만t을 방류하자는 것이었다. 길이 2.54km의 관로를 추가 설치하는 2차 사업에는 281억 원의 예산이 들었다. 2017년부터 물을 막고 공사가 시작되면서 5만t 방류 사업도 중단됐다. 2차 공사는 2021년 2월 마무리됐다.

시의 당초 계획은 최대 25만t의 바닷물을 흘려보내는 것이었다. 2021년 2월 해수도수 펌프를 재가동했으나, 기존 5만t의 관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펌프장에서 끌어올린 물은 광무교까지 가기도 전에 누수 지점에서 새어 버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는 육안으로 누수 지점을 추정만 하고 있다. 현재 누수가 추정되는 곳은 △홈플러스 서면점 앞 △전문건설회관 앞 △범일진흥마제스타워아파트 앞 3곳이다.

시는 누수의 정확한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관로가 하천 바닥 1m 아래에 묻혀 있어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원인을 파악하려면 동천의 바닷물 유입을 막고 물을 다 빼낸 뒤 땅속에 묻힌 관로를 꺼내 봐야 하는데, 이 작업에만 또 막대한 예산이 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시는 20만t 공사 후 시운전 당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미뤄 봤을 때, 20만t 관로 공사 충격으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누수가 발생하는 바람에 광무교 일대에는 2년째 해수도수 공급이 끊긴 상태다. 20만t 공급시설은 매일 20시간씩 돌아가고 있지만, 관로가 광무교까지 이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광무교 부근의 수질은 12개월 중 3개월이 용존산소(DO) 기준치(2mg/L 이상)를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동안 문제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시는 ‘땜질 처방’ 계획만 밝히고 있다. 20만t 관로와 5만t 관로를 이어 광무교까지 물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동천 광무교 일대에서는 두 관로를 연결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시는 다음 달부터는 광무교 일대에도 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근시안적인 방법으로는 동천 수질 개선이 요원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시의회 김재운 의원은 “하천 관리를 찔끔찔끔 땜질식으로만 처리할 것이 아니라 도시계획과 하천 복원이 함께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