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비명계 퇴출’ 내홍, 강성 지지층 목소리 더 커졌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공천 배제 등 징계 요구 쏟아져
‘체포동의안 표결 보이콧’도 확산
‘이낙연 전 대표 영구 제명’ 설문
7일 동안 6만 7000여 명 찬성

더불어수박깨기운동본부 관계자들이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비명계 의원들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수박’은 겉과 속이 다른 배신자라는 뜻으로 이 대표의 지지자가 이낙연 전 대표 측근 등을 비난할 때 사용한 표현이다. 연합뉴스 더불어수박깨기운동본부 관계자들이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비명계 의원들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수박’은 겉과 속이 다른 배신자라는 뜻으로 이 대표의 지지자가 이낙연 전 대표 측근 등을 비난할 때 사용한 표현이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에서 이재명 대표 강성 지지층의 ‘비명(비이재명)계 몰아내기’ 움직임이 갈수록 강화되는 모습이다. 비명계에 대해선 ‘공천 배제’에서 ‘영구 제명’까지 다양한 ‘징계’ 요구가 쏟아진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투표가 다시 이뤄질 경우 ‘보이콧하자’는 친명계의 주장도 당원층으로 확산됐다.

민주당에서는 비명계 징계 요구가 당 청원게시판을 통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이 대표와 대선후보 경쟁을 펼쳤던 이낙연 전 대표 ‘영구 제명’ 요구는 청원 7일 만인 5일 동의 건수 6만 7000명을 넘어섰다. 이 전 대표 영구 제명에 대해 청원인은 '지난 대선 경선 당시 대장동 건을 터뜨려서 이 대표가 고통을 받게 만든 장본인'이라고 지목했다. 이 대표 사법 리스크 비난이 검찰을 넘어 이 전 대표 등 비명계 핵심으로 전환되는 모습이다.


이 전 대표 제명 요구에는 당내 현역 의원의 비판이 나왔다. 윤영찬 의원은 지난 3일 페이스북을 통해 '청원 취지에 언급된 여러 주장은 청원 요건에도 부합하지 않는 허위사실과 명예훼손성 내용'이라며 '황당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의 공격은 비명계 전반으로 확산됐다. '지금이 검찰제국임을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무능력한 기회주의자들의 공천 배제'를 요구하는 청원의 경우 동의가 2만 명을 넘겼다.

이 대표의 다음 체포동의안 표결을 보이콧 방식으로 무산시키자는 일부 의원의 주장도 당원층으로 확산됐다. 민주당 초선 의원 모임 ‘처럼회’ 소속 김용민 의원은 지난 2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투표하지 않는 보이콧 방식”으로 당내 이탈표를 차단할 것을 제안했다. 김민석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추가 체포동의안을 제출할 경우 ‘당론으로 본회의 불출석을 통한 투표불성립을 결의해 야당 분열 획책 음모의 싹을 잘라 버리겠다’고 즉시 선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이콧 주장은 당원으로 확산돼 청원게시판에는 '이 대표 2차 영장 청구시 체포동의안 전면 거부를 민주당 당론으로 채택할 것을 촉구'하는 청원의 동의가 2만 9000여 명을 넘어섰다. 국회법(제114조의 2)은 '의원은 국민의 대표자로서 소속 정당의 의사에 기속되지 아니하고 양심에 따라 투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자유투표’가 법으로 정해져 있지만 민주당에선 ‘당론 보이콧’에 의한 이탈표 차단을 정당화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처럼 당내 친명계의 비명계 압박이 강해지는 상황에서 이 대표는 경제 현안을 언급하며 국면 전환에 나섰다. 이 대표는 5일 페이스북을 통해 미국 반도체지원법의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급변하는 경제·산업 환경에 걸맞은 통상전략 재편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미국의 대중봉쇄에 (한국 정부가)장기 말을 자처하다간 자칫 국익과 배치되는 큰 화를 부를 수 있다'면서 '(미국이)반도체를 경제 문제가 아니라 안보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신호인 만큼 정부의 역할이 막중하다'고 지적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