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여성 2명 중 1명 “출산 NO”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무조정실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

만 19~34세 여성 55%만 “출산 의사”
부모와 사는 청년 67% “독립계획 없어”
주거 정책 현안은 구입자금 대출이 1위

7일 서울 파이낸스센터 앞에서 열린 여성의 날 기념 외모 갑질 규탄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서울 파이낸스센터 앞에서 열린 여성의 날 기념 외모 갑질 규탄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만 19~34세 청년 여성 중 출산 의향이 있는 이는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합계출생율이 0.78명으로 떨어져 위기 수준인 저출생 문제가 앞으로 더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무조정실은 7일 만 19세~34세 청년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7~8월에 실시한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국무회의에서 보고했다. 이번 조사는 정부 차원에서 청년의 삶 전반에 대해 조사한 첫 실태 조사인데 정부의 공식 청년통계로 기록된다.


이번 조사 중 눈에 띄는 점은 ‘결혼 의향’과 ‘자녀 출산 의향’에 대해 남녀의 응답률에 차이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미혼 청년을 상대로 결혼 계획을 물은 결과 75.3%가 ‘있다’고 응답했다. 남녀 응답률을 살펴보면 남성은 79.9%가 ‘있다’고 답했고, 여성은 69.7%가 ‘있다’고 답했다. 성별 간 10.1%포인트 차이를 보인 것이다.

출산 의향에서는 남녀 응답률 격차가 15.2%로 더 벌어졌다. 기혼자를 포함해 자녀가 있는 경우 출산 의사가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있다’고 답한 남성은 70.5%였다. 여성의 경우 두 명중 한 명 꼴인 55.3%만이 ‘있다’고 답했다. 남녀 전체 응답률은 63.3%였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지난해 합계출산율 0.78을 기록한 저출생 현상이 앞으로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저출생·고령화가 미래 사회 경제적 요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률도 대다수를 차지했다. 미래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소를 묻는 문항의 응답 중에서 저출생·고령화가 95.7%로 가장 많았다. 기후변화(92.4%), 불평등(90.1%), 기술·산업구조 변화(90.1%)이 뒤따랐다.

이 밖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거형태’에 대한 문항에서 부모와 함께 산다고 응답한 비율은 57.5%였다. 구체적인 독립 계획 여부를 묻는 문항에 ‘없다’고 답한 비율은 67.7%에 달했다.

독립계획이 없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로 ‘생활비 절약’이 56.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적정 독립시기에 대해서는 ‘자산 형성 이후(27.8%)’ ‘취업 후(27.2)’ ‘결혼 후(23.1%)’ 순으로 답했다.

청년이 현재 필요한 정책 1순위로 꼽은 주거 정책은 ‘구입자금 대출’이 41.0%로 가장 많았다. ‘전세자금 대출(23.9%)’ ‘월세 등 주거비 지원(17.3%)’ ‘공공임대 공급(11.8%)’ 순이었다. 청년 1인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161만 원으로 조사됐으며, 한 달 평균 자기계발비는 21만 원으로 집계됐다.

국무조정실은 청년 통계의 장기적인 변화를 볼 수 있도록 앞으로 2년마다 청년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는 청년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