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은 조선소 15만 평에 펼쳐질 신해양도시 부산의 미래 [난개발 위기 영도 워터프런트]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영도 ‘부스트벨트’ 사업

2019년 제기된 복합개발 방안
북항 배후·동삼혁신지구 연계
공공성·상징성 갖춘 개발 필요

부산시가 2019년 11월 추진을 천명한 ‘해양 신산업 부스트벨트’ 대상지 중 영도구 동삼동 현장. 2030부산월드엑스포 개최 희망 장소인 북항과 마주보는 장소여서 주목받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시가 2019년 11월 추진을 천명한 ‘해양 신산업 부스트벨트’ 대상지 중 영도구 동삼동 현장. 2030부산월드엑스포 개최 희망 장소인 북항과 마주보는 장소여서 주목받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해양 신산업 부스트벨트(Boost Belt)’는 쇠퇴한 영도구 해안공업지역을 기술 혁신을 통해 신해양 벨트로 발전시키겠다는 의미다. 이런 뜻을 담은 ‘Busan Ocean of Opportunity for Science&Technology’의 영어에서 첫 글자를 따 벨트와 합친 단어다.

구체적으로는 조선업 불황으로 유휴조선소 부지가 나온 영도구 청학동·동삼동 일대 수변 공간 총 50만 1968㎡(약 15만 2000평)를 해양신산업을 비롯해 산업·상업·문화가 조화된 혁신 클러스터로 복합개발하고, 주변 해안 경관과 조화를 갖춘 친수공원으로 조성한다는 부산시의 구상이 담긴 곳이다.


2019년 초 부산정책포럼에서 처음 정책으로 제시된 부스트벨트는 시와 부산연구원 등이 필요성을 적극 제안해 시작됐다. 같은 해 11월 부스트벨트 내 한국타이어 부산물류센터 부지가 국토부의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지로 선정돼 부스트벨트 사업은 본 궤도에 올랐다. 2021년 7월 박형준 부산시장이 시범사업지 현장을 방문하고 영도구 공업지역 활성화 계획 등을 발표한 뒤 시는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시는 2027년 12월까지 부스트벨트 시범사업지 준공을 마치고 향후 협력기업과 기반시설을 유치하는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특히 부스트벨트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개최 희망 장소인 북항과 연계돼 희소성을 갖춘 해안가 입지이면서 영도구 동삼 혁신지구에 있는 해양·수산 연구개발 단지와 연결된다. 엑스포 배후 첨단산업단지로서 중요성이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부산의 학계와 개발업계에서는 공공성과 상징성이 잘 조화된 개발이 보장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부스트벨트 개발이 지닌 중요성에 비해 실질적 관리가 너무 느슨하다는 점을 우려한다. 사업이 본격화된 지 수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부스트벨트만을 위한 상위 법정 도시관리계획 등 난개발 방지 장치 마련이 요원하다는 지적이다.

강정규 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교수는 “부동산 개발에서 계획성 없이 프로젝트 위주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결국 끝에 가서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며 “영도구 워터프런트의 중요성을 감안했을 때 이러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시가 명확한 의지와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