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인재 수도권 집중… 지방소멸 점차 현실화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재헌 청소년 시민기자(남산중2)

부경대에서 열린 '2022 PKNU 진로·취업박람회' 장면. 부산일보DB 부경대에서 열린 '2022 PKNU 진로·취업박람회' 장면. 부산일보DB

우리나라 인구를 100명으로 본다면 그중 50명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살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전체 인구의 50.52%에 해당하는 2598만 5118명이 수도권에 살고 있다. 2019년 말 50%를 처음 넘어선 뒤 계속적으로 수도권 인구 비중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수도권은 면적으로는 우리나라 국토의 11%에 불과하다. 여기에 절반 이상의 인구가 살다 보니 경제나 문화, 교육 등 인프라 대부분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부산에서도 수도권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중학생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우리가 아는 명문대나 대기업 본사들이 대부분 서울에 몰려있어 수도권 대학에 진학해야만 취업이 잘되고 훗날 안정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지방대는 갈수록 경쟁률이 떨어지고 지역에 있는 중소기업들은 구인난에 시달리기도 한다.

‘지방 소멸’이라는 단어가 부산에서도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2011년 355만 963명이던 부산 인구가 2016년 349만 8529명, 2020년 339만 1946명으로 9년 만에 인구는 16만 여 명이 줄었다. 특히 2020년 수도권으로 이동한 부산 인구는 1만 3937명으로 대부분 취업과 연결되는 25세~29세의 청년층이다. 대학을 졸업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 청년들이 부산을 떠나고 부산의 노령화 현상은 빨라지고 있다.

문제는 취업을 위해 부산을 떠나는 청년들이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이로 인해 경제 상황은 더더욱 나빠지는 악순환이 시작됐다는 점이다. 실제로 학생들은 주변에서 제대로 된 미래를 위해서는 수도권 대학에 가야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어릴 때부터 수도권 대학 진학의 중요성을 교육 받은 세대가 지방에 남아 있으려고 할 지 의문이다.

또 젊은 인재들이 떠나는 곳이라면 부산의 미래는 절망스럽다. 학생들이 미래에 대한 걱정 없이 부산에서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수도권만 발전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발전이 아니기 때문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