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도 선포 22년, 명실상부 글로벌 도시 도약 ‘결정적 기회’ [부산엑스포 is good]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엑스포 is good] 해양수도

북항, 해양물류·선박산업 거점
국내 넘어 국제적 해양수도 성큼
제주·강원 이어 특별자치시 가능

지난달 15일 부산 동구 부산항국제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해양수도 부산 선포 22주년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이 해양수도 부산 실현 방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제공 지난달 15일 부산 동구 부산항국제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해양수도 부산 선포 22주년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이 해양수도 부산 실현 방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제공

‘해양수도 부산’은 21세기 도시 비전의 열쇠 말로 1990년대 말 처음 등장한 구호다. 2030부산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는 ‘선언’에 머물렀던 해양수도의 의미를 행정적으로 현실화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해양도시의 위상으로 확장할 결정적 기회다.


■‘해양수도’ 선포 22주년 됐지만

2000년 말 안상영 부산시장은 부산이 나아갈 방향으로 ‘해양수도 부산’을 선포했다. 당시 부산시 해양정책특보를 지낸 김가야 동의대 명예교수는 해양수도 선포의 배경으로 “기재부와 예산 협의 과정에서 부산만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한 명분이 필요했다”고 회고했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촉구를 중심으로 시민운동이 앞장섰고, 대선과 총선 때마다 관련 공약도 되풀이됐다. 그러나 22년이 지나는 동안 법적 의미의 해양수도는 물론 행정과 재정에서 권한을 갖는 해양자치권 확보조차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진전이 없었던 건 아니다. 부산항은 세계 2위의 환적항만, 세계 7위의 컨테이너 항만으로 동북아 물류의 중심이다. 한국 수출의 80% 이상이 부산항을 거친다. 부산 전체 취업 인구의 30%가 해양 관련 산업에 종사하면서 지역내총생산(GRDP)의 30%를 담당한다.

■부산 잠재력 전 세계 선보일 기회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는 이 같은 부산의 잠재력을 전 세계에 선보이는 동시에 관련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끌어 낼 기회다. 그 출발은 원도심과 바다를 연결하면서 ‘해양도시’ 부산을 널리 알릴 엑스포의 무대, 북항이다. 북항 재개발지역은 엑스포를 기점으로 오페라하우스, 마리나시설 등이 있는 국제해양관광 거점, 북항의 해양물류·컨벤션 산업과 금융, 상업을 융합하는 비즈니스 지구로 조성된다. 엑스포 전시관이 들어설 우암부두는 엑스포 이후 해양레저선박과 첨단부품, 해양플랜트와 바이오 등 기업을 유치해 미래해양산업의 중심지로 변모한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규제 완화와 가덕신공항을 비롯한 인프라 확충은 부산을 글로벌 해양도시로 이끌 도약대가 될 전망이다. 이에 더해 부산시는 2025년 한국 개최가 결정된 해양환경분야의 국제회의 ‘아워 오션 컨퍼런스(OOC)’를 부산에 유치해 지속 가능한 해양산업에 대한 부산의 비전도 제시할 예정이다. 송찬호 부산시 해양수도정책과장은 “엑스포는 형평성이나 예산의 한계로 어려웠던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가능하게 해 법적인 해양수도도 실현할 수 있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산특별자치시 통한 극점도시로

박인호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대표는 “엑스포를 통해 해양수도 부산에 대한 국민의 공감대와 정치권의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이에 앞서 싱가포르와 같은 세계해양도시와 경쟁하려면 해양수산에 대해 아무 권한도 없는 부산보통시로는 안 된다”고 단언한다. 지난달 15일 부산시 동구 부산항국제컨벤션센터 5층 회의실에서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주최로 열린 ‘해양수도 부산 선포 22주년’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해양수도 부산’을 위해 현실적인 법적 대안으로 ‘부산특별자치시’ 추진을 제안했다. 현재 세종, 제주에 이어 올 6월 강원도가 특별자치도로 출범한다.

이를 위해 한국해양대 해사법학부 정영석 교수는 지방자치법에 근거한 특별자치시로서 부산특별자치시의 설치와 함께 부산특별자치시의 지향점을 ‘글로벌해양도시’로 규정한 특별법을 제안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