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쌀 독성물질, 민관 공동조사 나서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낙동강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와 부경대 연구팀 등이 경남 김해 낙동강 대동선착장에서 ‘2022년 낙동강 국민 체감 녹조 현장조사’ 기자회견 후 녹조 범벅인 강물을 컵에 담아 보여주고 있다. 부산일보DB 낙동강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와 부경대 연구팀 등이 경남 김해 낙동강 대동선착장에서 ‘2022년 낙동강 국민 체감 녹조 현장조사’ 기자회견 후 녹조 범벅인 강물을 컵에 담아 보여주고 있다. 부산일보DB

낙동강 물로 재배한 농산물에서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가을 낙동강 유역 6곳과 영산강 1곳에서 생산한 쌀에 치명적인 수준의 마이크로시스틴이 포함돼 있다는 내용이다. 지난해에 이어 2년째 낙동강 쌀에서 독성물질을 확인한 것이어서 먹거리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게 됐다. 그런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1월 농수산물 130건을 조사했더니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상반된 결과 앞에서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만 커지는 상황이다.

마이크로시스틴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발암 물질로 지정한 독소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이번 독소 검출은 성인의 하루 섭취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프랑스 정부의 독성 가이드라인보다 5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마이크로시스틴은 장기간 섭취할 경우 간과 생식 능력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그래서 미국이나 프랑스는 기준치를 강화하는 추세인데, 우리 정부는 그 위험성을 애써 외면하고 있다는 게 환경단체들의 주장이다.

정부가 독성 기준치를 너무 안이하게 잡는 것 아니냐는 지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낙동강 인근이나 하굿둑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재배한 쌀을 조사 시료로 사용했다는 의심을 받는다. 녹조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 이외의 농산물에서 독성물질이 검출될 가능성이 작은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게 사실이라면 정부 조사의 신뢰도 역시 낮을 수밖에 없다. 그동안 환경단체와 정부 사이에 현격한 시각차가 존재해 왔는데, 이제는 구체적인 실증과 규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부산시민은 그동안 식수 문제로 오랜 고통을 감내해 왔다. 이제는 오염된 낙동강 물로 키운 농산물로부터 건강을 위협받아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주민들의 커지는 불안감을 불식하려면 환경단체의 민관 공동조사 요구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응하는 길밖에 없다. 어째서 어긋난 조사 결과가 나오는지, 정확한 오염 실태는 무엇인지 정부가 먼저 파악해서 주민들에게 명쾌하게 설명해야 한다. 더는 국민 생명과 먹거리 안전을 외면할 때가 아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