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강도 높을수록 글로컬대학 선정 가능성 높아진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교육부, 선정방식 공개 공청회
올해 총 10곳 내외 지정 예고
“대학에 혁신 떠넘기나” 비판도

16일 정부세종청사 15동 대강당에서 열린 ‘제1회 글로컬 대학 30 추진방안(시안) 공청회’에서 윤소영 교육부 지역인재정책과장이 글로컬대학 30 추진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정부세종청사 15동 대강당에서 열린 ‘제1회 글로컬 대학 30 추진방안(시안) 공청회’에서 윤소영 교육부 지역인재정책과장이 글로컬대학 30 추진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5년 간 국비 1000억 원을 개별 지역 대학에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 선정 방식이 처음 공개됐다. 대학이 교육부에 다음달 중 5페이지 이내 ‘혁신 보고서’를 제출하면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글로컬대학위원회가 이를 평가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혁신 강도가 높을수록 글로컬 대학 선정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학에 ‘혁신 떠넘기기’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교육부는 16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공청회를 열고 ‘글로컬 대학30 추진방안’ 시안을 공개했다. 최종 추진 방안은 이달 28일까지 온라인 의견 수렴과 4차례의 권역별 공청회를 거친 뒤 확정한다. 시안에 담긴 선정 절차를 보면, 교육부는 선정평가위원회를 구성해 글로컬 대학 신청 대학을 대상으로 오는 5월과 7월 각각 예비 지정과 본 지정 평가를 실시한다. 7월 평가 이후 교육부는 올해 10곳 내외의 글로컬 대학을 선정하고 2027년까지 30곳으로 글로컬 대학을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부가 밝힌 글로컬 대학 선정 기준의 핵심은 ‘혁신’이다. 교육부는 대학 안팎, 내부(학과, 교수) 경계를 허무는 시도를 혁신 사례로 꼽는다. 이날 공청회에서 교육부가 꼽은 대표적인 혁신 사례는 2개 이상 대학·기관이 사업기간 중 통합을 하는 모델이다. 대규모 구조조정을 염두에 둔 내용으로 풀이된다. 교육부는 구조조정 이외에도 글로컬 대학 신청 과정에서 △산학협력 허브 역할 △대학 내외부 경계 허물기 △과감한 대도약혁신 추진 체계 운영 △성과관리 시스템 및 공개 방안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신입생 충원율, 재정 지표 등 정량적 요소 등은 평가 요소에 포함되지 않았다. 과거 정부 지원 대학 사업과는 달리 1000억 원의 막대한 예산이 특정 대학에 지원되는만큼 글로컬 대학은 혁신안으로 지역에 창출한 GRDP(지역내총생산), 지역 정주 인재 수, 지역 고용율, 지방세 납부액 등 정량적인 지표를 홈페이지에 공개해야 한다.

부산 지역 대학들은 글로컬 대학 기준 발표를 예의 주시하고 TF(테스크포스)를 만드는 등 선정에 대학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시안을 두고 일각에서는 ‘대학에 혁신을 떠맡긴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지방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지역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혁신하기엔 한계가 크다는 것이다. 부산 지역 대학 한 총장은 “교육부의 취지는 대학 주도로 혁신을 해보라는 것이지만 교육부가 지정한 글로컬 대학이 얼마나 혁신적인지를 두고는 선정 이후 뒷말이 나올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고 우려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