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철의 '금알못' 탈출기]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경제부 금융블록체인팀 기자

덮어놓고 쓰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고 했다. 사회 초년생 시절 흥청망청하다 보니 월급 통장은 말 그대로 ‘텅장’(텅 빈 통장) 상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투자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을 것이란 우울한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렇다고 마냥 움츠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

재테크의 시작이자 기본인 종잣돈 마련이 그 첫걸음이다. 때마침 오는 6월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차원의 은행 적금 상품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된다고 한다. 5년간 매월 70만 원씩 저축하면 정부가 지원금을 더해 최대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다.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만 19~34세 청년이면 월 70만 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 총급여 2400만 원 이하는 월 40만 원 한도에서 6%의 정부 기여금을 매칭받을 수 있다. 즉 40만원씩 꼬박꼬박 납입하면 정부가 매월 최대 2만 4000원을 보조해준다는 것이다. 상대적 고소득자인 총급여 6000만~7500만 원 가입자는 정부 기여금은 한 푼도 못 받지만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15.4%) 혜택이 가능해 일반 적금 상품보다 훨씬 유리하다.

이른바 ‘만능 통장’이라 불리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예적금은 물론 주식부터 펀드, 주가연계증권(ELS)까지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다. 1년 동안 2000만 원까지만 납입할 수 있고 최소 3년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ISA의 장점은 세제 혜택에서 두드러진다. 일반 계좌의 경우 이자 등의 소득에 대해 15.4%의 세금을 내야 한다. 하지만 ISA를 통해서라면 200만 원까지는 전액 비과세며 이를 넘는 금액은 초과분에만 9.9% 과세한다.

평소 인내와 끈기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 사람에게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초단기 예금도 매력적이다. 만기를 최소 1개월부터 설정할 수 있는 상품들이다. 적금과 비교하면 이익률은 낮지만 한 달만 예치하더라도 연 3%대 금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금리 인상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초단기 예금을 통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금융 소비자에 적합하다.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도 필수다. 자신의 총급여가 5500만 원을 넘으면 납입액의 13.2%를 세액공제해준다. 총급여 5500만 원을 넘지 않는 경우 납입액의 16.5%까지 세액공제된다. 연금저축의 납입 한도는 연 600만 원, IRP는 연 900만 원이다. 두 상품 합산 기준으로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다.

금융 시장 혼란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채굴한 원화로 현명하게 돈을 모으면서 '진짜 투자' 적기를 기다리자.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