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 연구자들이 묶은 역사언어학자의 유고집 3권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한자연구소·서울대 동문
연규동 경성대 교수 책 3권 내
‘문자와 언어학’ ‘…어휘 이야기’ 등

연규동 경성대 한국한자연구소 교수의 생전 모습. 경성대 한자문명연구사업단 유튜브 캡처 연규동 경성대 한국한자연구소 교수의 생전 모습. 경성대 한자문명연구사업단 유튜브 캡처

학문세계를 다 펴지 못한 채 병마와 싸우다 지난해 타계한 역사언어학자 연규동(1963~2022) 경성대 한국한자연구소 교수의 유고집 3권이 출간됐다.

고인은 서울대 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일본·미국의 대학 초빙연구원을 지냈고 2010년부터 몸 담은 연세대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2020년 경성대 교수로 왔었다. 유고집은 유족의 도움으로 고인의 컴퓨터 속에 있는 내용을 동료 연구자들이 묶은 것이다. 경성대 한국한자연구소에서 <문자와 언어학>과 <세계의 문자 사전>을, 서울대 언어학과 동문들이 <연규동 교수의 우리말 어휘 이야기>를 각각 묶었다.

<문자와 언어학>은 문자의 일반 이론을 추구한 고인 필생의 유작이다. 병마와 싸우는 중에도 글쓰기를 놓지 않았으나 안타깝게도 마저 완성하지 못하고 그는 세상을 떠났다. 완성하지 못한 일부 생각은 짧은 메모로 정리돼 있는데 그 메모들이 그대로 책에 실렸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멀리 떨어진 사건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는데 특히 이런 추상 능력은 인간 언어에 아주 이른 시기부터 '조사'와 '접속사' 같은, 객관적 세계와 전혀 관련이 없는 특별한 지위를 지닌 단어가 존재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나아가 문자는 낡은 시대를 저물게 하고, 새 시대를 불러오는 큰 위력을 보여왔다. "문자 사용은 소통 방식을 바꾸었고 사회제도를 새롭게 했으며 새로운 세력을 등장하게 하는 통로가 되기도 했다." 그는 현대에 만들어진 그림문자,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등 인터넷 시대에 주목받고 있는 매체도 새로운 문자 현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세계의 문자 사전>은 고인이 '네이버 지식백과'에 정기적으로 소개한 내용을 책으로 묶은 것이다. 중앙아시아·서아시아·인도계·아메리카·한자계 등 세계 문자의 모든 것이 귀하게 담겨 있다.

<연규동 교수의 우리말 어휘 이야기>는 고인이 컴퓨터에 갈무리해놓은 우리말 어휘에 관한 원고를 묶은 것이다. 현대 한국어 어휘와 우리말 어휘의 역사를 담았다. '윤슬과 물비늘' '뭐예요? 사랑이에요?' '사과 이름의 문화사' '고구려에 간 김춘추는 통역이 필요했을까' 등 60여 편의 글이 묶였다. 생전에 그는 저서 4권, 공저 13권, 번역서 2권과 60여 편의 논문을 남겼다.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