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액티브 에이징 도시’에 부산의 미래 걸렸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노인 인구 30% ‘초초고령’ 지역 확산
‘능동적 역할론’ 노인 정책 전환 시급

부산 지역 읍면동 가운데 노인 인구 비율이 30%가 넘는 ‘초초고령’ 지역이 전체의 4분의 1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산 중구 중앙공원에서 노인들이 나무 그늘에 앉아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지역 읍면동 가운데 노인 인구 비율이 30%가 넘는 ‘초초고령’ 지역이 전체의 4분의 1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산 중구 중앙공원에서 노인들이 나무 그늘에 앉아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지역 행정동(洞) 가운데 이른바 ‘초초고령’ 동이 전체의 4분의 1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일보〉 취재진이 부산시 주민등록인구 통계 자료를 들여다본 결과인데, 올해 4월 기준으로 부산의 205개 읍면동 중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30%를 넘긴 동네가 47곳이나 된다는 것이다. 그동안 시도 차원이나 구·군 차원의 고령화율 통계에 비해 읍면동 단위의 통계는 별다른 이목을 끌지 못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동 단위의 면밀한 분석은 고령화 문제를 대처하는 데 선도적이고 구체적인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를 토대로 부산시가 냉정한 현실 인식과 함께 노인 정책 전환의 근거로 삼을 만하다.

이번 동 단위 인구 분석의 핵심은 부산의 고령화 속도가 갈수록 가파르다는 점, 초초고령 동의 경우 대체로 원도심에 집중돼 있다는 점으로 요약된다. 원도심 지역의 고령화율이 높은 것은 산업화 1·2세대들이 산업 현장에서 은퇴해 거주하던 지역이라는 역사성에서 기인한다. 문제는 부산의 고령화 속도가 시간이 갈수록 더욱 빨라진다는 사실이다. 10년 후면 현재 노년 인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장년 세대가 노인 세대로 진입하게 된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 속도는 노인 인구의 자연 감소세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될 게 분명하다. 이런 상태가 지속된다면 도시 부산의 활력을 더욱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런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부산이 ‘노인과 바다의 도시’라는 이미지를 떨쳐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2016년 국내 네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에 가입한 부산시이지만 관련 정책은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한 실정이다. 노인의 연령적 특성이나 요구를 고려하지 않는 하향식 위주의 정부 정책 역시 마찬가지다. 이제는 부산시가 부정적 현실을 긍정적 기회로 바꾸는 발상의 전환을 꾀해야 할 때다. 노인을 피동적 존재로 보지 말고 사회에 이바지하는 능동적 주체로 활용하자는 뜻인데, ‘액티브 에이징 도시’라는 말로 설명 가능하다. 부산의 현실과 특성에 맞게 미래를 설계하는 능동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부산은 우리나라 7대 대도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도시다. ‘초초고령’ 사회 진입 역시 시간문제다. 지금 부산시에 필요한 것은 어두운 이미지를 털어 내고 노인 정책의 긍정적 선도 모델을 제시하는 도시로 나아가려는 전향적 자세다. ‘액티브 에이징 부산’을 노인 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삼아 나이 듦이 사회의 새로운 활력소가 되는 사례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동네 공동체를 중심으로 노인의 직접 참여와 주도성을 보장하는 정교한 정책 개발이 그래서 중요하다. 노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배제되지 않고 환영받는 것, 이것이 부산이라는 고령친화도시의 전략적 핵심이어야 한다는 의미다. 부산의 미래가 여기에 달려 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