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 필수 인프라’… 20년 묵은 숙제 일단락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추진 과정과 의미, 향후 과제

2002년 돗대산 참사 계기로 제안
백지화·김해신공항 등 우여곡절
박형준 “엑스포 유치에도 긍정적”
24시간 안전한 공항 원칙도 부합
부울경 어디서나 60분 만에 접근
신공항 접근성 높일 교통망 과제

위에서부터 2002년 김해시 돗대산 중국국제항공 여객기 추락사고 구조 작업. 서울 언론에서 가덕신공항을 ‘멸치 말리는 공항’이라고 비난한 칼럼. 2016년 열린 ‘가덕신공항 유치 범시민 궐기대회’ 모습. 지난달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염원하는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시민 가상 착공식’ 퍼포먼스. 부산일보DB 위에서부터 2002년 김해시 돗대산 중국국제항공 여객기 추락사고 구조 작업. 서울 언론에서 가덕신공항을 ‘멸치 말리는 공항’이라고 비난한 칼럼. 2016년 열린 ‘가덕신공항 유치 범시민 궐기대회’ 모습. 지난달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염원하는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시민 가상 착공식’ 퍼포먼스. 부산일보DB

국토교통부가 14일 가덕신공항을 육상과 해상에 걸치도록 건설해 2029년 12월 개항하는 것으로 추진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2002년 4월 중국민항기의 경남 김해시 돗대산 충돌 사고 이후 20여 년간 끌어 온 가덕신공항 건설과 관련한 논란이 일단락됐다. 부산시는 향후 가덕신공항의 조기 개항은 물론 안전한 공항이 될 수 있도록 정부, 정치권 등과 협력을 통해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가덕신공항 로드맵 확정까지

가덕신공항은 2002년 4월 15일 김해국제공항 인근에서 발생한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를 계기로 건설 필요성이 대두됐다. 김해공항의 안전성 문제와 더불어 인프라 부족, 수요 증가에 따른 포화 예상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면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공항 건설의 논의가 시작됐다.

지역의 여론은 있었지만 구체적인 논의는 지지부진했던 가운데,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역 균형 발전 등의 필요성에 따라 남부권 신공항 건설 검토를 공식 지시하면서 논의가 본격화됐다. 하지만 경남 밀양시와 가덕도를 놓고 신공항 입지 갈등이 계속돼 동남권 신공항 논의는 진척을 이루지 못했다. 이후 2011년 이명박 정부는 동남권 신공항 사업을 전면 백지화한다고 발표했다. 2016년 박근혜 정부는 신공항 대신 기존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김해신공항을 짓기로 결정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부산시와 정치권에서는 부울경 자체 검증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김해신공항 자체 검증을 진행했다. 부울경 자체검증 결과를 토대로 부울경 단체장들은 2019년 김해신공항 재검증을 정부에 요구했다. 국무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는 이듬해 동남권 관문공항으로서 김해신공항 건설에는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2021년 3월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이 제정돼 국가사업으로 추진돼 왔지만, 엑스포 전인 2030년 조기 개항을 위한 건설공법 등을 두고 국토부와 시가 줄다리기를 벌여 왔다.

■관련 법 처리·교통망 확보 절실

시는 14일 국토부의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 발표 내용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은 ‘24시간 운영 가능한 안전한 공항’ 건설이라는 시의 원칙에 부합하는 결론이 나와 매우 다행스럽다고 평가했다. 또 시가 사활을 걸고 추진 중인 2030월드엑스포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박 시장은 “부산의 경우 경쟁 도시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와 비교해 국제공항 인프라가 취약점으로 지적됐다.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로드맵이 나온 만큼 이러한 우려를 상당 부분 불식시키고 2029년 12월 개항을 못 박음으로써 공항 문제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시는 조기 개항에 차질이 없도록 향후 관련 부처들과의 협력과 함께 국회 차원의 제도적 지원도 당부했다. 박 시장은 “‘가덕도 신공항 건설 특별법 개정안’과 ‘가덕도 신공항 건설공단 법안’을 발의했다”면서 “시도 국토부와 협의해 보상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한편 공항 건설 예정지역 주민의 생활 안정과 재정착 지원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최근 부산·울산·경남 어디에서나 가덕신공항까지 60분 이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광역교통망 구축 계획도 국토부에 추가로 건의했다. 지난해 11월과 올 1월 두 차례에 걸쳐 열린 국토부-지자체 간 정례회에서 시는 기존 도로·철도 계획을 보완해 가덕신공항으로 접근하는 교통망을 기본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제안했다. 건의 내용은 우선 일반철도의 경우, 부산신항만과 가덕신공항을 연결하는 구간 중 부산신항 연결지선을 단선에서 복선으로 바꾸고, 눌차역을 새로 신설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