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 청년 박탈감만 가중하는 2030 인재 영입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여야의 2030 인재 영입과 관련한 후폭풍이 거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정치와 무관한 20~30대 고스펙 전문가를 대선용으로 잇달아 영입한 게 발단이다. 영입 인재들의 전력이 드러나며 각종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이들에게 청년의 대표성이 있는지 의심스러운 경우가 많은 게 사실이다. 물론 내년 대선을 앞두고 2030세대를 겨냥한 여야의 경쟁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이들의 부동층 비율이 30~40%로 다른 연령대보다 훨씬 높아, 최대 캐스팅보터가 되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불안한 취준생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청년들에게 지금 같은 외부 영입은 쇼 이상으로는 안 보인다는 것이다.

논란만 키우는 외부 영입 쇼 중단
정당 내부 육성 방식으로 전환을

상대적 박탈감은 특히 지역 청년들에게 더 가혹하다. 여야에 영입된 2030 인재는 지금까지 모두 수도권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었다. 지역에는 인재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언제 제대로 찾아보기나 했는지 묻고 싶다. 그래도 눈에 띄는 인재가 안 보인다면 수도권으로 다 빠져나가서 그렇다고 대답할 수밖에 없다. 대학당 정부의 지원액은 수도권이 225억 원인 반면 지역 대학은 121억 원으로 절반 수준이다. 매출액 기준으로 전국 1000대 기업 중 743개가 수도권에 있다. 지난해 월평균 명목임금이 수도권 295만 원, 비수도권 266만 원으로 10.6%까지 벌어졌다. 좋은 환경에서 교육받고, 좋은 기업에 취직해, 월급도 더 많이 받는 ‘기회의 땅’ 수도권 때문에 지방은 아사 직전이다.

현장에서 정치 공력을 키워 온 지역의 청년 정치인들은 더욱더 허탈해하는 모습이다. 주경야독식으로 돈 벌어 당비를 내고, 정치 강의 들으면서 경력을 쌓아도 별 볼 일 없다. 인재랍시고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오다)를 영입하면 맥이 쭉 빠진다. 영입한 청년 인재 중에는 그 흔한 플랫폼 노동자가 한 명도 없다. 취업 준비와 생계의 어려움을 안고 사는 평범한 지역 청년과 너무 다른데도 청년을 대변할 수 있을까. 학벌이 부족해도 지역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 정책을 고민하는 지역의 청년들이 있다. 여야 대선 후보들은 지역 내 청년 정치인들을 먼저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야 했다.

여야는 말로만 청년을 강조했지 아직까지는 진정성 있는 ‘청년 정치’를 보여 주지 않아서 유감이다. 청년 인재를 왜 멀리서만 찾는지 모르겠다. 보여 주기식 외부 영입보다 공당으로서 내부 청년 정치인 발굴과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게 우선이다. 당내에서 묵묵히 활동해 온 지역의 청년 정치인 중에 숨은 보석을 보고 싶다. 이번 기회에 당내 청년 정치인이 무럭무럭 성장하는 시스템이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교육과 취업 모두에서 밀리는 우리의 목소리는 누가 대변해 주나”라는 한탄이 여전히 귓가에 맴돈다. 여야 대선 후보를 비롯한 정치권은 지역과 청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